등록 : 2019.11.04 18:24
수정 : 2019.11.05 02:44
|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4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방콕 임팩트포럼에서 ‘아세안+3 정상회의’ 전 만나 대화하고 있다. 2019.11.4 청와대 제공
|
|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4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방콕 임팩트포럼에서 ‘아세안+3 정상회의’ 전 만나 대화하고 있다. 2019.11.4 청와대 제공
|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4일 ‘아세안+3 정상회의’가 열린 방콕에서 단독으로 만나 11분간 ‘깜짝’ 환담했다. 두 정상이 따로 만난 것은 지난해 9월 정상회담 이후 13개월 만이다. 두 정상은 회동에서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며 양국 관계의 현안은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비록 짧은 만남이었지만, 두 정상이 손을 맞잡고 ‘대화를 통한 해법’ 모색에 공감한 것은 지금의 양국 관계에 비춰볼 때 의미가 크다. 한·일 두 나라는 이제 강제징용 문제에서 비롯해 무역, 군사협력 문제로까지 확대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고위급 대화에 나서길 바란다.
두 정상은 이날 환담에서 “양국 외교부의 공식 채널로 진행되고 있는 협의를 통해 실질적인 관계 진전 방안이 도출되기를 희망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또 문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고위급 협의’를 하는 방안을 검토하자고 제의했고 이에 아베 총리도 “모든 가능한 방법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노력하자”고 화답했다고 한다. 지난 6월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악수만 하고 헤어졌던 것과는 크게 비교된다.
청와대는 이번 환담이 사전에 계획된 게 아니라 문 대통령이 정상회의 대기실에서 기다리다 뒤늦게 도착한 아베 총리를 옆자리로 인도해 이뤄진 것이라고 전했다. 문 대통령이 먼저 나서 아베 총리의 손을 이끌어 대화의 단초를 마련한 것은 바람직했다. 지난달 말 일왕 즉위식 때 이낙연 총리와 아베 총리가 만나 ‘대화 재개’ 필요성에 공감했는데, 이번에 두 나라 정상이 이를 확인했으니 곧바로 외교당국 간의 실효성 있는 협의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일본이 이번 환담과 관련해 “아베 총리가 원칙적 입장을 확실히 전달했다”고 밝힌 건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원칙적 입장이란 “징용 배상 문제는 1965년 청구권 협정으로 다 해결됐다”는 것이어서, 이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간극은 여전히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대화 말고는 달리 해법이 없다는 건 분명하다. 역사 문제에서 인식 격차를 좁히기 어려우면, 우선 일본은 무역보복 조처를, 한국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종료 결정을 철회하는 것도 한 방안이다. 두 나라 정부는 즉각 갈등 해소를 위한 실천적 행동에 나서야 한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