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3.16 18:49 수정 : 2015.03.16 18:49


‘기름지다’를 한자어로 바꾸면 ‘비옥(肥沃)하다’이다. 동물의 살이나 알곡을 실하고 윤기 있게 만들어주는 것은 기름이다. 인류는 먼 옛날부터 각종 동식물에서 채취한 기름을 요리할 때 쓰거나 몸에 바르거나 불을 밝히는 데 사용해왔다. 땅이 스스로 배출하는 기름도 있었으나, 그런 기름은 사람이 먹을 수 없었고 산지도 아주 적었다.

산업혁명으로 기계의 시대가 열리자 사람이 먹고 바르는 기름보다 기계에 먹이고 발라주는 기름이 더 중요해졌다. 1859년 미국의 에드윈 드레이크가 땅속에서 기름을 퍼 올리는 데에 성공했고, 뒤이어 땅속의 기름을 찾으려는 굴착기가 세계 도처의 지표를 헤집었다. 석유가 조선 땅에 등장한 것은 미국에서 원유 생산이 개시된 지 20년 뒤인 1880년이었다.

“석유는 영미 여러 나라에서 생산된 것이다. 어떤 사람은 이것을 바다에서 채취한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석탄에서 뽑은 것이라고 하며, 어떤 사람은 돌을 불에 달구어 걸러낸 것이라고 하여 그 말이 한결같지 않지만 그것이 천연자원이란 것은 다 알고 있었다. 우리나라는 경진년(1880)부터 석유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석유가 나온 후로 산과 들에는 기름을 짤 수 있는 열매가 많이 열리지 않았다.”(황현, <매천야록>)

처음 아주까리 동백기름만 몰아냈던 석유는 1930년께부터 도자기와 목기, 심지어 섬유까지 대체하기 시작했다. 석유와 그 부산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자 1935년에는 원산에 조선석유주식회사가 설립되었는데, 이것이 한반도 최초의 정유회사이다.

현대인이 사용하는 물건 대부분에는 석유에서 유래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어디에나 있으며 어떤 모습으로든 변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석유는 현대의 신이라 할 수 있다. 현대인은 유한한 석유에 기대어 더 편안하고 풍요로운 미래를 꿈꾸는 사람들이다. 하지만 석유가 현대 물질세계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는 이상, 석유 고갈이 현대 물질문명을 다른 단계로 이행시킬 것이라는 사실도 의심할 여지가 없다.

전우용 역사학자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전우용의 현대를 만든 물건들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