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3.08 10:31 수정 : 2019.03.08 17:03

꼬리를 치켜세우고 당당한 모습으로 영역을 순찰하는 굴뚝새의 경 겨운 모습. 이제 인가에선 보기 힘들다.

[애니멀피플]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
앙증맞은 몸집에 곱고 우렁찬 노래…전통가옥과 토담과 함께 사라져

꼬리를 치켜세우고 당당한 모습으로 영역을 순찰하는 굴뚝새의 경 겨운 모습. 이제 인가에선 보기 힘들다.
어린 시절 여름이 가고 날씨가 추워지면 따뜻한 불기운을 찾아 마을로 내려온 굴뚝새를 자주 보곤 했다. 특히 겨울철 집집이 굴뚝에서 저녁밥을 짓는 연기가 피어오르고, 온 마을에 하얀 연기가 낮게 깔리면 굴뚝새는 어김없이 인가를 찾아와 토담을 넘나들고 굴뚝을 기웃거리며 주변에서 서성거렸다.

굴뚝새가 자주 나타났던 옛 가옥.
굴뚝새가 동네 안에서 살던 때에는 친숙하고 정이 가는 새였지만, 우리 전통 가옥이 거의 사라진 뒤로 우리 곁에서 멀어졌다. 아직도 굴뚝새가 뒤뜰 안 굴뚝과 토담에서 자주 목격되던 기억이 생생하다. 장작더미의 구멍이나 석축, 바위 구멍을 좋아해, 구멍으로 들어가면 사라지기도 하고 엉뚱한 곳으로 나오기도 해 사람을 놀라게 하곤 했다.

주위를 세심하게 살피는 굴뚝새.
굴뚝새의 다갈색 깃털은 어두운 곳에서 보면 검게 보인다. 굴뚝 주변에 잔뜩 낀 광택 없는 검은 그을음이 굴뚝새 깃털과 아주 흡사해 잘 어울린다. 겨울에 항상 따끈한 굴뚝에서 지내서 사람들이 이 녀석을 굴뚝새라 부르지 않았나 생각한다.

수컷 굴뚝새는 한자리에 앉아있지 않고 짧은 꼬리를 위로 바짝 추켜세운 채 '탁! 탁!' 치며 온몸을 움직인다. 이리저리 바쁘게 돌아다니면서 지저귀거나 강렬하고도 달콤한 목소리로 커다랗고 시끄럽게 노래함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 음질과 음량도 개체마다 다양하다.

꼬리를 치켜세우는 것은 영역을 알리는 과시이자 작은 몸집의 약점을 당찬 허세로 존재감을 드러내는 행동으로 보인다.
굴뚝새는 손에 잡힐 듯 사람 가까이 다가오지만, 곁을 줄 듯 말 듯 깝죽대며 귀엽게 군다. 짧은 거리를 신속하게 날아다닌다. 날개가 짧고 둥글며 몸길이 9~10㎝의 매우 작은 새여서 정말 앙증맞다.

굴뚝새는 일부다처제로 번식한다. 둥지는 수컷이 만들며, 암컷이 선택한다. 암컷을 수없이 거느리고 사는 수컷이 있는가 하면, 홀로 여생을 마치는 수컷도 있다. 누구를 탓할 수도 없다. 둥지를 짓는 기술이 형편없으면 홀로 사는 처량한 신세가 되는 것이다.

과시하는 몸짓과 몸집에 비해 큰 울음소리는 일부다처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이다.
수컷은 둥지의 기초공사를 마치고 해가 뜨기 무섭게 지저귀며 암컷을 유혹한다. 암컷이 세력권 안에 들어오면 둥지로 유혹하고 꼬리를 치며 정열적인 몸짓을 보인다. 암컷이 사랑을 받아주면 둥지의 완성을 위해 함께 보금자리를 만들어 간다.

잠시도 지저귐을 멈추지 않는다.
쉬지 않고 자신의 영역을 순찰해야 하는 것은 일부다처제를 꾸리는 수컷의 숙명이다.
짝짓기를 마치고 얼마 후 알을 낳아 품게 되면 기르는 것은 주로 암컷의 일이다. 수컷은 또 다른 암컷을 아름다운 소리로 유혹한다. 능력이 뛰어난 수컷은 여러 마리의 암컷과 신방을 차린다. 자신의 영역에서 번식하는 4마리 정도의 암컷과 함께한다.

바짝 치켜세운 꼬리는 굴뚝새의 자존심이다.
굴뚝새는 우리나라 전역에 사는 텃새이며 유라시아와 아프리카에 분포한다. 등이 다갈색이고 몸 아래쪽은 붉은 회갈색, 가슴에는 검은색 가로무늬가 있다. 여름에는 산지를 좋아해 그곳에서 번식하며 생활하지만, 겨울에는 인가 주변으로 내려온다. 거미, 파리 등 곤충류를 잡아먹고 겨울에는 작은 곤충의 번데기, 종자 씨를 먹는다.

덤불 사이나 숲의 바닥으로 빠르게 움직여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아늑한 구멍을 좋아한다. 5∼8월에 흰색에 엷은 적갈색 반점이 있는 알을 4∼6개 낳는다.

돌 틈에서 먹이를 사냥하고 잘 들어가 학명은 ‘동굴 거주자’이다.
60~70년대 흔했던 바람둥이 굴뚝새는 우리와 더불어 살아온 ‘정서 동물’이다. 굴뚝새뿐이랴. 지금은 주거 환경이 달라져 곁에 있어야 할 것들이 너무나 많이 밀려나 버렸다. 굴뚝새는 이제 보기 드문 새가 되어 야외로 나가야 만날 수 있다. 우리 스스로 자연과 멀어진 것을 생각하면 너무 아쉽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촬영 디렉터 이경희, 김응성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애니멀피플] 윤순영의 자연관찰 일기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