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반려동물

양치질 싫어하는 댕댕이…‘덴탈껌’만 먹이면 안 될까요?

등록 2023-07-18 16:43수정 2023-07-18 17:03

[애니멀피플] 애피레터 맛보기: 혁호’s 반려랩
잇몸, 인대 혹은 치골에 염증이 생기는 치주 질환은 개에게서도 흔하게 나타난다. 치주 질환의 가장 큰 원인은 치아에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세균막과 이로 인한 치석이기 때문에 일상적인 구강 관리가 필요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잇몸, 인대 혹은 치골에 염증이 생기는 치주 질환은 개에게서도 흔하게 나타난다. 치주 질환의 가장 큰 원인은 치아에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세균막과 이로 인한 치석이기 때문에 일상적인 구강 관리가 필요하다. 게티이미지뱅크

말 못하는 작은 가족 반려동물, 어떻게 하면 잘 보살필 수 있을까요. 애니멀피플의 주간 뉴스레터를 담당하는 댕기자(견종 비글·6살)가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국내 여러 동물병원에서 멍냥이를 만나온 권혁호 수의사에게 반려동물의 건강, 생활, 영양에 대해 묻습니다. ▶▶애피레터 구독신청하기 : 검색창에 ‘댕기자의 애피레터’를 입력하세요!

Q 댕기자가 묻습니다

쌤, 지난번에 4살 이상 고양이 50~90%가 구강 질환을 앓는다고 했던 말씀 넘 무서웠습니당. 댕기자, 치과는 질색이기 때문인데요. 그래도 양치질은 싫은 것입니다. 대신 개껌을 많~이 씹으면 안 될까요? 

A 권혁호 수의사가 답합니다

댕기자 저 다 기억해요. 고양이 양치질 편에서 매일 10초 만이라도 칫솔질을 해야 한다고 하니, 남 일이다고 고소해 했죠. 그렇다면 오늘은 댕댕이 양치질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인지상정!

2018년 제가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다양한 동물병원에서 진료 경험을 쌓던 시절 이야긴데요. 당시 여러 동물병원에서 근무했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었어요. 

어딜 가든 진료실의 가장 잘 보이는 곳에 구강 건강의 중요성과 위험성을 알리는 포스터를 대문짝만하게 붙여놨던 거예요. 고양이 편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치아 건강은 그 중요성이 자주 간과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병원에서도 인식 전환을 위해 열심히 알리고 있었던 거죠.

가장 흔한 게 치주 질환인데요. 이빨을 지지하는 조직인 잇몸, 인대 혹은 치골에 염증이 생기는 거예요. 3살 이상의 강아지 중 적어도 80% 이상이 치주 질환을 갖고 있다는 연구가 있을 정도예요. 그러니 치주 질환에 더욱 유의해야겠죠.

치주 질환의 가장 큰 원인은 치아에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세균막과 이로 인한 치석입니다. 치태(플라그)는 끈적하고 무색인데, 이것이 24~72시간 이내에 제거되지 않고 단단해지면 치석이 되거든요.

치석이 한 번 만들어지면 세균막이 형성되기 더 쉬운 조건이 만들어져요. 세균막에서는 지속해서 독소와 염증 물질이 나오기 때문에 치아를 지탱하는 주변 조직들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요.

이건 인간도 마찬가지예요. 최근 국내 연구진의 논문에 따르면 구강 건강이 암 발생과도 연관이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거든요. 빠진 치아가 있을 정도로 구강 건강이 안 좋으면 구강 내 세균이 이동하면서 암 발병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무서운 내용이었어요.

강아지도 이빨이나 잇몸에 문제가 생기면 입안의 세균과 염증 물질들이 잇몸 내 혈관을 타고 전신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치아로 인한 통증이나 스트레스는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게 할 뿐 아니라 면역력에도 문제를 일으키고요. 면역력이 약해지면 외부 감염에도 취약해지겠죠.

구강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선 ① 평소 이빨과 잇몸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평가하기 ② 규칙적으로 양치해주기 ③ 동물병원에 방문해 정기 검진을 받고, 필요하면 스케일링 혹은 치료받기 등 세 가지 원칙을 잘 실천하셔야 해요.

양치질을 매일 할 필요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치태는 당단백질 섭취 후 24시간 안에 생기기 시작하고, 2~3일이 지나면 치태가 치석으로 변하기 시작하니까 최소한 3일에 한 번씩은 해주셔야 합니다.

이제 개껌 이야길 해볼까요. 시중에는 구강 관리에 도움을 준다고 하는 제품들이 많이 나와 있죠. 덴탈껌, 치약, 치석제거 사료가 정말 치아 관리에 도움이 될까요. 같이 한 번 알아보시죠.

▶▶애피레터에서 전체 보기 https://bit.ly/3sT9h1a

권혁호 수의사 hyeokhoeq@gmail.com,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