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생태와진화

벌새 깃털 닮은 ‘무지개 공룡’ 중국서 발굴

등록 2018-01-16 14:17수정 2018-01-17 10:46

[애니멀피플]
벌새와 깃털 색소체 구조 유사
1억6천만년 전 오리 크기 공룡
중생대 쥐라기 때 중국 동북부에 서식하던 ‘무지개 공룡’의 상상도. 벌새처럼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색깔로 보이는 깃털을 지녔다. 자오 촹 제공.
중생대 쥐라기 때 중국 동북부에 서식하던 ‘무지개 공룡’의 상상도. 벌새처럼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색깔로 보이는 깃털을 지녔다. 자오 촹 제공.
새들이 척추동물 가운데 가장 화려한 모습을 자랑하는 비결은 깃털에 있다. 깃털의 색소체 구조 덕분에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빛깔로 보이기 때문이다. 공작의 꼬리나 벌새의 머리, 비둘기의 목에서 무지개 빛깔로 반짝이는 깃털을 볼 수 있다. 이런 형광 깃털은 언제부터 진화했을까.

연구자들은 중생대 쥐라기의 수각류 공룡에서 그런 증거를 찾았다. 1억6100만년 전 깃털로 덮인 공룡은 이미 번쩍이는 깃털로 암컷을 유혹했다.

‘무지개 공룡’ 화석 모습. a와 b는 화석 앞과 뒷면, d는 두개골, d와 d는 화석 그림. 후동규 외(2018),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제공
‘무지개 공룡’ 화석 모습. a와 b는 화석 앞과 뒷면, d는 두개골, d와 d는 화석 그림. 후동규 외(2018),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제공
오리만 한 크기의 이 화석은 중국 동북부 허베이 성의 한 농부가 발견해 2014년 랴오닝 고생물 박물관에 소장됐다. 연구자들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이 공룡의 깃털을 정밀하게 분석했다. 연구자의 하나인 차드 엘리아슨 미국 텍사스대 오스틴 캠퍼스 박사과정생(현 필드 박물관 박사)은 “화석은 놀라울 정도로 잘 보존돼 있었고, 깃털의 세부 구조까지 볼 수 있어 흥분됐다”라고 이 박물관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멜라닌 색소는 유기물이어서 이미 오래전에 사라졌다. 그러나 멜라닌 색소를 생산하는 멜라닌소체는 형태와 구조가 고스란히 남아있었다. 멜라닌 색소는 검은색이지만 멜라닌소체의 형태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다양한 색깔로 보이게 된다.

이 공룡의 머리, 날개, 꼬리에서 멜라닌소체가 확인됐다. 현생 조류 깃털의 미세구조와 비교한 결과 벌새와 구조가 가장 비슷했다. 연구자들은 이 깃털 공룡이 날지는 못했을 것으로 보고, 깃털이 체온 유지와 짝짓기 과시용으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자들은 머리 위에 큰 볏이 난 이 공룡에 ‘큰 볏이 있는 무지개 공룡’이라는 뜻의 카이홍 주지(Caihong juji)라는 이름을 붙였다.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5일 치에 실렸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무지개 공룡’ 깃털의 멜라닌 색소체 구조의 모습(a∼d)과 이에 견줄 현생 조류 멜라닌 색소체 모습(e∼h). 후동규 외(2018),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제공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무지개 공룡’ 깃털의 멜라닌 색소체 구조의 모습(a∼d)과 이에 견줄 현생 조류 멜라닌 색소체 모습(e∼h). 후동규 외(2018),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제공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Dongyu Hu et al, A bony-crested Jurassic dinosaur with evidence of iridescent plumage highlights complexity in early paravian evolution,

Nature Communications 9, Article number: 217(2018), doi:10.1038/s41467-017-02515-y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