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동남아 살던 큰부리바람까마귀, 마라도엔 왜 왔을까?

등록 2022-06-29 12:00수정 2022-06-29 12:50

동남아에서 수천㎞ 날아온 새
인식용 가락지 끼워 방사
큰부리바람까마귀. 환경부 제공
큰부리바람까마귀. 환경부 제공

▶▶애피레터 구독신청하기 https://bit.ly/3kj776R

새들은 길을 잃는다. 먼 곳에 가면 뉴스가 된다.

길 잃은 새를 ‘미조’(迷鳥, vagrant bird)라고 부른다. 먼 길을 오가는 철새일수록 이런 현상이 잦다. 사람들에게 낭만의 대상이지만, 미조의 결말은 대개 죽음이다. 낯선 땅에서 먹이를 구하지 못하거나 사회적 관계를 맺지 못하고 외로이 죽어간다.

하지만 미조는 개척자이기도 하다. 새로운 서식지를 발견하고 거기서 개체군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외딴 섬에서 진화한 새들의 조상은 다 이런 미조였다.

최근 제주 마라도에서 아열대성 조류인 ‘큰부리바람까마귀’(학명 Dicrurus annectans) 한 마리가 발견됐다. 29일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이 새의 발에 인식용 가락지를 붙여 지난 10일 방사했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팀은 이 새를 미조로 추정했다. 큰부리바람까마귀는 몸길이 27~29㎝ 정도의 아열대성 조류로, 전체적으로 검은색에 꼬리가 길고 가운데가 오목하다. 타이, 베트남, 미얀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주로 동남아시아와 중국 서남부에 분포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에 관찰된 개체는 이 종의 분포권에서 동북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발견된 사례”라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 새의 분포권이 북쪽으로 확장되는 과정에 있는지에 대해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