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피레터 구독신청하기 https://bit.ly/3kj776R
새들은 길을 잃는다. 먼 곳에 가면 뉴스가 된다.
길 잃은 새를 ‘미조’(迷鳥, vagrant bird)라고 부른다. 먼 길을 오가는 철새일수록 이런 현상이 잦다. 사람들에게 낭만의 대상이지만, 미조의 결말은 대개 죽음이다. 낯선 땅에서 먹이를 구하지 못하거나 사회적 관계를 맺지 못하고 외로이 죽어간다.
하지만 미조는 개척자이기도 하다. 새로운 서식지를 발견하고 거기서 개체군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외딴 섬에서 진화한 새들의 조상은 다 이런 미조였다.
최근 제주 마라도에서 아열대성 조류인 ‘큰부리바람까마귀’(학명
Dicrurus annectans) 한 마리가 발견됐다. 29일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이 새의 발에 인식용 가락지를 붙여 지난 10일 방사했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팀은 이 새를 미조로 추정했다. 큰부리바람까마귀는 몸길이 27~29㎝ 정도의 아열대성 조류로, 전체적으로 검은색에 꼬리가 길고 가운데가 오목하다. 타이, 베트남, 미얀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주로 동남아시아와 중국 서남부에 분포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에 관찰된 개체는 이 종의 분포권에서 동북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발견된 사례”라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 새의 분포권이 북쪽으로 확장되는 과정에 있는지에 대해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