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암컷 개구리, 원치 않는 수컷이 접근할 때 ‘죽은 척’ 한다

등록 2023-10-13 14:09수정 2023-11-08 11:43

[애니멀피플]
번식기 치열한 교미 전쟁으로 암컷 사망하기도
‘3가지 거부 묘책’ 몸 뒤집기·경계음 내기·죽은 척
몸집이 작고 젊은 암컷 개구리일수록 ‘강직성 부동’ 행동이 더 많이 관찰됐다. 캐롤린 디트리히/베를린 자연사박물관 제공
몸집이 작고 젊은 암컷 개구리일수록 ‘강직성 부동’ 행동이 더 많이 관찰됐다. 캐롤린 디트리히/베를린 자연사박물관 제공

봄이 오면 논이나 연못은 개구리들의 ‘짝짓기 합창’으로 떠들썩하다. 개구리의 번식 기간은 일 년 가운데 단 몇 주뿐. 수컷 개구리들은 열흘도 안 되는 짧은 기간 동안 자식을 남기기 위해 암컷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그러다 보면 여러 마리 수컷이 암컷 한 마리에 달라붙어 암컷 개구리가 깔려 죽는 일까지 벌어진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암컷 개구리는 이런 불상사를 피하기 위해 나름의 자구책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롤린 디트리히 박사 등 독일 베를린 자연사박물관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영국 왕립오픈사이언스’에 “번식기의 암컷 개구리들이 수컷을 피하기 위해 몸 뒤집기, 경계음 내기, 죽은 척하기 등 세 가지 회피 행동을 하는 것을 관찰했다”고 전했다.

봄철 단 몇 주간의 번식기를 맞은 수컷 개구리들은 교미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수컷 여러 마리가 암컷 한 마리에 올라타 공 같은 형태(mating ball)를 이루는데 이 과정에서 물에 잠긴 암컷이 죽기도 한다. 캐롤린 디트리히/베를린 자연사박물관 제공
봄철 단 몇 주간의 번식기를 맞은 수컷 개구리들은 교미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수컷 여러 마리가 암컷 한 마리에 올라타 공 같은 형태(mating ball)를 이루는데 이 과정에서 물에 잠긴 암컷이 죽기도 한다. 캐롤린 디트리히/베를린 자연사박물관 제공

연구진이 처음부터 암컷 개구리의 짝짓기 회피를 조사하려고 했던 것은 아니다. 현재 빈에 거주 중인 진화 및 행동 생물학자 디트리히 박사는 2019년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동안 ‘수컷 개구리가 암컷의 체격 차이에 따라 짝을 선택하는가’를 연구하고자 했다. 암컷의 몸집이 크면 더 많은 알을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수컷이 큰 암컷을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수컷은 크기를 기준으로 짝짓기 상대를 선택하지 않았다.

대신 실험 과정에서 암컷의 독특한 행동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연구팀은 앞선 가설을 알아보기 위해 번식기에 접어든 유럽산 산개구리(Rana temporaria) 암컷 96마리와 수컷 48마리를 채집한 뒤, 수컷 한 마리와 크기가 다른 암컷 두 마리를 가로 40㎝, 세로 60㎝ 크기의 상자에 넣었다. 안에는 물을 5㎝ 정도 채운 뒤 개구리들을 1시간 동안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고 개구리들의 행동을 기록했다.

암컷 개구리들의 회피 행동(왼쪽)과 체격에 따른 회피행동 빈도. 몸 크기가 작을수록 복합적인 회피 행동이 나타났다. 캐롤린 디트리히/베를린 자연사박물관 제공
암컷 개구리들의 회피 행동(왼쪽)과 체격에 따른 회피행동 빈도. 몸 크기가 작을수록 복합적인 회피 행동이 나타났다. 캐롤린 디트리히/베를린 자연사박물관 제공

그 결과 암컷 개구리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수컷의 교미를 회피하는 것이 관찰됐다. 가장 흔한 회피 행동은 ‘몸 뒤집기’(회전)였다. 암컷 개구리 83%는 물 속에서 수컷의 앞다리 아래로 몸을 회전시켜 수컷의 품에서 빠져나오려고 시도했다.

암컷들은 한 가지 이상의 기술을 함께 사용했는데, 몸 뒤집기만큼 흔한 행동이 ‘경계음 내기’였다. 암컷의 48%는 몸 뒤집기와 더불어 경계음을 냈는데, 이런 경계음은 자연에서 흔히 수컷들이 다른 수컷에게 자신이 수컷임을 알리기 위해 내는 소리다. 디트리히 박사는 “암컷들이 수컷에게 벗어나기 위해 수컷의 경계음을 모방하는 것 같다”고 했다.

또 암컷의 33%는 아예 죽은 것처럼 팔다리를 쭉 뻗은 채 ‘강직성 부동’(Tonic immobility)을 연기했다. 이런 행동은 무척추동물에서 척추동물에 이르기까지 동물계 전체에서 목격되지만 주로 포식자에 대한 방어 전략으로 나타난다. 짝짓기나 생식에 관련해 이렇게 죽은 시늉을 하는 동물은 거미, 잠자리, 이베리아영원(도롱뇽) 등 일부에서만 관찰됐다.

이렇게 회피 행동을 한 암컷의 46%(25마리)는 결국 수컷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런 회피 행동의 탈출 성공률은 암컷의 몸 크기가 작을수록 높았고, 암컷과 수컷의 체격 차이가 클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몸집이 작을수록 큰 암컷보다 몸 뒤집기, 경계음 내기, 죽은 시늉하기 등의 회피 행동이 한 가지 이상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유럽 산개구리 암컷이 수컷의 경쟁적인 교미를 피하기 위해 죽은 척을 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롤린 디트리히/베를린 자연사박물관 제공
유럽 산개구리 암컷이 수컷의 경쟁적인 교미를 피하기 위해 죽은 척을 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롤린 디트리히/베를린 자연사박물관 제공

다만 연구진은 강직성 부동이 의도된 죽은 척이라기보다 스트레스 반응일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강직성 부동은 몸집이 작고 나이가 어린 암컷에서 더 자주 관찰되었는데, 짝짓기 경험이 적은 암컷이 심각한 스트레스로 이러한 반응을 보였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스트레스는 혈중 코르티코스테론(부신피질 호르몬의 한 종류)을 증가시켜 생식 행동을 억제한다.

디트리히 박사는 “그동안 밀집 번식 환경에서 암컷 개구리는 수동적이고 무력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런 다양한 전략을 통해 암컷도 수컷과의 교미를 거부하거나 회피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됐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인공적인 실험 조건에서 이뤄진 만큼 동물의 자연스러운 행동에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캐나다 맥길대학교 양서류학자인 데이비드 그린 박사는 “야생 암컷 개구리가 한 번에 한 마리의 수컷만 만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암컷이 어떤 기준으로 짝을 선택하거나 회피하고 아예 번식하지 않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고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말했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