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무게 2t 개복치, 경골어류 기록 바뀐다

등록 2017-12-11 12:09수정 2017-12-14 16:16

[애니멀피플]
길이 3m, 머리만 자른 괴상한 모습
일본 해안서 거대어 잇따라 포획
대양에 사는 심해어인 혹개복치. 경골어류 가운데 가장 무거운 종일 가능성이 크다. 페르-올라 노먼,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대양에 사는 심해어인 혹개복치. 경골어류 가운데 가장 무거운 종일 가능성이 크다. 페르-올라 노먼,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바다에서 만날 수 있는 가장 크고 괴상한 모습의 경골어류를 꼽는다면 개복치일 것이다. 길이 3m, 무게 2t에 이르는 이 물고기는 연골어류인 상어와 가오리 일부를 빼고는 바다 최대의 물고기이다. 모습도 특이하다. 물고기의 머리만 잘라놓은 듯 타원형 몸집에 보통 물고기에서 보는 꼬리지느러미가 없고 대신 방향타 구실을 하는 돌출부가 있다.

성체와 전혀 다른 모습의 개복치 치어. 개복치는 복어와 먼 친척이다. G. 데이비드 존슨,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성체와 전혀 다른 모습의 개복치 치어. 개복치는 복어와 먼 친척이다. G. 데이비드 존슨,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주로 해파리를 잡아먹고 알을 한 번에 3억개나 낳으며 어린 고기는 어미와 전혀 다른 복어처럼 생기는 등 생태도 독특하다. 16세기부터 이 특이한 물고기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지만 수수께끼에 가득 찬 물고기이다. 온도와 열대의 대양에 널리 분포하지만 주로 심해에 사는 거대한 물고기여서 채집과 운반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개복치 속에 몇 종이 있는지조차 분명치 않아 혼란이 거듭됐다. 최근 일본 연구자들이 개복치 표본 30점과 관련 기록을 정리해 이 물고기의 ‘족보’를 정리한 논문을 발표했다.

개복치. 해파리를 주로 먹는 심해어이다. 오픈케이지,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개복치. 해파리를 주로 먹는 심해어이다. 오픈케이지,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연구자들은 유전적, 형태적으로 볼 때 개복치는 3개의 종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개복치(Mola mola), 혹개복치(Mola alexandrini), 후드윙커개복치(Mola tecta)가 그것이다. 연구자들은 이제까지 남방개복치(mola ramsayi)로 불리던 종은 혹개복치와 같은 종으로 드러나 명칭을 바꿀 것을 제안했다. 후드윙커개복치는 지난 7월에야 발견된 신종이다.

이제까지 가장 큰 개복치는 1996년 일본 해안에서 채집한 2.72m 무게 2t의 남방개복치로, 2002년 기네스북에 가장 무거운 경골어류 기록을 남겼다. 연구자들은 2004년 일본 아지섬에서 잡은 남방개복치가 길이 3.32m이지만 무게를 재지 않아, 앞으로 이보다 더 큰 개복치가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수족관의 개복치에서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프레드 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수족관의 개복치에서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프레드 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이번 연구로 세계 기록의 주인공은 남방개복치에서 혹개복치로 이름이 바뀌게 됐다. 혹개복치가 남방개복치보다 먼저 명명됐기 때문에 두 종이 같은 종으로 드러난 뒤에는 ‘선취권’에 따라 처음 이름으로 통일된다. 혹개복치는 이마에 튀어나온 혹이 다른 개복치와 다르고 비늘 모양도 구별된다.

이번 연구는 과학저널 ‘어류학 연구’ 최근호에 실렸다.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Etsuro Sawai et al (2017), Redescription of the bump?head sunfsh Mola alexandrini (Ranzani 1839), senior synonym of Mola ramsayi (Giglioli 1883), with designation of a neotype for Mola mola (Linnaeus 1758) (Tetraodontiformes: Molidae), Ichthyol Res, DOI 10.1007/s10228-017-0603-6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