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봄꽃이 피었다…원앙이 짝짓기를 한다

등록 2018-04-17 09:51수정 2018-04-17 10:20

[애니멀피플] 윤순영의 자연관찰일기
화려한 쪽이 이긴다, 필사적인 깃털 다듬기 전쟁
짝 지키랴, 한눈 팔랴…절정의 순간은 물에 잠겨
이른 아침 원앙이 찾아오는 김포 장릉의 연못에 안개가 걷히고 있다.
이른 아침 원앙이 찾아오는 김포 장릉의 연못에 안개가 걷히고 있다.
짙은 안개 때문에 늦장을 부리던 원앙이 안개가 걷히자 벚나무 위에서 뒤늦게 몸치장을 하고 내려올 준비를 한다.
짙은 안개 때문에 늦장을 부리던 원앙이 안개가 걷히자 벚나무 위에서 뒤늦게 몸치장을 하고 내려올 준비를 한다.
해마다 경기도 김포 장릉 연못에서는 봄·가을 이동 중에 머무는 원앙을 볼 수 있다. 이제는 원앙이 이동하다 중간에 잠시 머무는 기착지가 된 지 오래다. 가을부터 변하기 시작한 수컷 원앙의 혼인깃이 봄을 맞아 더욱 더 아름답게 빛난다.

벚나무에 홀로 앉은 수컷 원앙.
벚나무에 홀로 앉은 수컷 원앙.
원앙 부부는 주변에 대한 호기심도 많다.
원앙 부부는 주변에 대한 호기심도 많다.
화려한 깃털을 자랑하는 원앙 수컷.
화려한 깃털을 자랑하는 원앙 수컷.
원앙 수컷들은 혼인색을 마음껏 뽐내며 암컷 원앙의 마음을 사로잡으려 애쓴다. 수컷 원앙은 겨울 내내 깃털을 관리하고 암컷 원앙이 변심하지 않기를 바라며 부부관계를 유지해 왔다. 이제 봄기운이 돌자 아름다운 깃털을 짝짓기를 위한 마지막 수단으로 활용해야하는 결정적인 순간이 다가왔다.

연못가 주변을 서성이는 원앙들.
연못가 주변을 서성이는 원앙들.
숲속으로 향한다.
숲속으로 향한다.
가슴을 부풀인 수컷 원앙(오른쪽)은 잠시도 암컷 원앙(왼쪽) 곁을 떠나지 않는다.
가슴을 부풀인 수컷 원앙(오른쪽)은 잠시도 암컷 원앙(왼쪽) 곁을 떠나지 않는다.
수컷 원앙은 튼튼한 몸집을 이용해 경쟁자와 힘으로 겨루기보다는 가장 멋지고 화려한 깃털을 내세워 힘의 상징으로 가슴을 마음껏 부풀여 과시한다. 화려한 깃털은 암컷을 유혹하는 최고의 수단이 되기도 하고, 암컷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깃털 관리는 짝을 맺는 경쟁력이다. 깃털이 덜 화려한 수컷은 뒷전에서 헛물만 켜는 신세가 되고 만다. 그래서 수컷 원앙들은 깃털을 목숨처럼 소중히 여기고 가꾼다.

암컷 원앙 한 마리를 두고 수컷 원앙들이 둘러싸 앉아 있다.
암컷 원앙 한 마리를 두고 수컷 원앙들이 둘러싸 앉아 있다.
암컷보다 수컷이 더 많아 경쟁이 치열하다. 봄꽃과 함께 사랑의 열기가 달아오른다.
암컷보다 수컷이 더 많아 경쟁이 치열하다. 봄꽃과 함께 사랑의 열기가 달아오른다.
암컷 원앙이 있는 곳엔 수컷 원앙이 모여든다.
암컷 원앙이 있는 곳엔 수컷 원앙이 모여든다.
진달래, 벚꽃과 어울린 원앙의 깃털이 화려한 빛을 뽐낸다. 수컷 원앙은 늘 암컷을 유혹하려 기회를 엿보기 때문에 짝을 맺은 수컷 원앙은 언제 암컷을 빼앗길지 몰라 철저하게 경계한다.

수컷 원앙들이 벚나무 위에 앉아 물에서 노는 암컷 원앙들을 넘본다.
수컷 원앙들이 벚나무 위에 앉아 물에서 노는 암컷 원앙들을 넘본다.
물가를 떠나 숲속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갖는 와중에도 사랑을 얻기 위한 행동이 지속된다.
물가를 떠나 숲속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갖는 와중에도 사랑을 얻기 위한 행동이 지속된다.
짝을 놓칠세라 수컷 원앙이 바짝 붙어 따라 다닌다.
짝을 놓칠세라 수컷 원앙이 바짝 붙어 따라 다닌다.
암컷 원앙은 다른 수컷 원앙이 다가오면 잽싸게 내는다. 수컷 원앙도 다른 암컷 원앙이 다가오면 가차없이 내는다. 서로가 만족하고 변함없는 사랑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그러나 양쪽의 속내는 다르다. 바람을 피울 기회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벚나무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원앙 부부.
벚나무에 앉아 휴식을 취하는 원앙 부부.
물에 잠겨 이뤄지는 원앙 부부의 짝짓기.
물에 잠겨 이뤄지는 원앙 부부의 짝짓기.
짝짓기가 끝나면 수컷은 꼭 날개를 터는 뒤풀이를 한다.
짝짓기가 끝나면 수컷은 꼭 날개를 터는 뒤풀이를 한다.
어찌된 일인지 원앙 부부는 바람을 피워도 걸리는 법이 없어 다행히 부부관계를 유지한다. 봄꽃이 만개하는 시기에 원앙의 사랑도 무르익는다. 이제 번식지로 돌아가 후세를 기약하는 일만 남았다.

글·사진 윤순영/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 필자. 촬영 진행 이경희, 김응성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