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산개구리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종으로 환경부에서 지정한 기후변화 생물종이다. 사진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평년보다 따뜻했던 올겨울 날씨 탓에 지리산 개구리의 첫 산란일이 지난해보다 10일이나 빨라졌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리산국립공원에 사는 북방산개구리의 산란 시기를 관찰한 결과, 올해 첫 산란일이 지난해보다 10일 빨랐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첫 산란일은 2월19일로 처음 관측을 시작한 2010년 2월22일에 비해서도 3일 빨라진 관측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2010년부터 매해 구룡계곡 일대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 시기를 기록해오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지리산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일은 2월에서 3월 초까지 약 한달 가까운 큰 변화 폭을 보이고 있다. 연구진은 산란일이 일정하지 않은 이유로 ‘변덕스러운 겨울철 날씨’를 원인으로 꼽았다.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10년간 지리산 구룡계곡에서 북방산개구리 산란일을 관찰한 결과, 겨울철 평균기온 상승의 영향으로 산란이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변덕스러운 겨울철 날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기상청의 2010년~2019년 기온자료 분석 결과도 1월 평균기온이 10년 전보다 2.7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방산개구리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종으로 환경부가 지정한 기후변화 생물종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에 변화상을 파악하기 쉬워 기후변화 등 생태모니터링에 많이 활용되어 왔다. 특히, 북방산개구리 암컷은 1년에 한 번만 알덩이를 산란하기 때문에 개체군 변동을 추정하는데 용이하다.
지난 19일 지리산국립공원 구룡계곡에서 북방산개구리의 첫 산란이 확인됐다. 국립공원공단 제공
오장근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북방산개구리가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산란일의 변동성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란일이 일정하지 않으면, 곤충 등 먹이가 되는 다른 종의 출현 시기와 맞지 않아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