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멀피플]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
안데스 운무림서 촬영…포식자 회피 추정하지만 생태는 수수께끼
생태학자가 찍은 생태 사진전에서 대상으로 뽑힌 투명 날개 나비. 페루의 안데스 산맥 운무림에서 촬영했다. 마리안 일리야 제공.
또 다른 종의 투명 날개 나비.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그리폰 독수리의 지배 행동을 그린 ‘넘보지 마!’. 필라 올리바 비달 스페인 예이다 대 생태학자가 먹이로 사냥한 멧돼지를 동료에게 빼앗기지 않으려는 행동을 촬영했다. 필라 올리바 비달 제공.
‘식탁 예절이 없는 배고픈 듀공’. 마테오 산톤 독일 튜빙겐대 박사가 홍해 해초 숲에서 풀을 뜯는 듀공을 찍었다. 듀공과 공생하며 먹이를 얻어먹는 대가로 기생충을 잡아주는 길잡이 물고기가 보인다. 마테오 산톤 제공.
‘작은 다리’. 동태평양의 외딴 섬인 코코제도 고유종인 거미가 물 위에 현수교 비슷한 거미줄을 쳤다. 다르코 다보르 코토라스 비에드마 제공.
청개구리의 눈에서 물을 핥아 먹는 파리의 일종. 엔리케 가르시아 멜로 제공.
담수에 사는 세계에서 가장 큰 새의 하나이지 멸종위기종인 달마시아 펠리컨이 아주 작은 민물고기를 낚아채는 데 성공했다. 나이덴 차카로프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