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광릉숲에서 멸종위기1급 작은관코박쥐 발견

등록 2019-05-26 21:07수정 2019-05-27 10:07

[애니멀피플]
국립수목원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9’에서 생물 1,424종 확인
국립수목원 광릉숲에서 발견된 멸종위기 1급 작은관코박쥐. 국립수목원 제공
국립수목원 광릉숲에서 발견된 멸종위기 1급 작은관코박쥐. 국립수목원 제공
광릉숲에서 멸종위기 1급인 작은관코박쥐, 대륙쇠큰수염박쥐, 쇠큰수염박쥐, 관박쥐 등이 발견됐다.

26일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광릉숲 절대 보존림에서 25~26일 이틀간 진행된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9’ (Bio Blitz Korea)에서 생물 1천424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탐사를 통해 발견된 작은관코박쥐는 2012년 국내에서 처음 관찰된 뒤 지리산, 소백산, 오대산, 점봉산에 이어 다섯 번째로 광릉숲에서도 확인됐다. 국립수목원은 “광릉숲이 산림성박쥐가 잠자리로 이용하는 고목 밑동의 굴이나, 나무껍질 틈 등이 풍부하여 잠재적 잠자리가 되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특히, 조류의 경우 같은 기간 조사한 다른 산지에 비해 약 15종 이상 많이 출현해 광릉숲의 풍부한 종 다양성을 보여줬다. 참가자들은 이번 조사를 통해 천연기념물인 까막딱다구리, 올빼미, 팔색조, 소쩍새, 솔부엉이, 원앙 6종을 포함하여 총 55종을 발견할 수 있었다.

25~26일 국립수목원 광릉숲에서 열린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9’에서 참가자들이 버섯류 탐사를 떠나고 있다. 국립수목원 제공
25~26일 국립수목원 광릉숲에서 열린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9’에서 참가자들이 버섯류 탐사를 떠나고 있다. 국립수목원 제공
포유류로는 멸종위기 2급 담비와 국제자연보존연맹(IUCN) 관심 대상 종인 삵, 오소리를 비롯해 양서파충류인 구렁이, 대륙유혈목 등의 서식도 확인했다.

이번 조사에 새롭게 추가된 등각류 분야에서는 개미와 공생하는 개미부치쥐며느리가 발견됐다. 개미부치쥐며느리의 서식이 확인된 것은 제주도, 창원 비음산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곤충은 광릉숲에만 서식하는 사슴벌레붙이와 10년 만에 발견돼 최근 학계 보고된 광릉왕맵시방아벌레 등 427종이 관찰됐다. 이밖에 버섯 54종, 지의류 47종, 어류 14종을 포함한 원생동물 22종, 규조류 25종 등도 이번 탐사에서 확인됐다.

25~26일 국립수목원 광릉숲에서 열린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9’에서 어린이 참가자들이 곤충탐사를 하고 있다. 국립수목원 제공
25~26일 국립수목원 광릉숲에서 열린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9’에서 어린이 참가자들이 곤충탐사를 하고 있다. 국립수목원 제공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광릉숲은 세계가 인정한 생물 다양성의 보고”라며 “국립수목원 개원 20주년을 맞은 올해 광릉숲에서 열 번째 바이오블리츠코리아를 개최하게 된 것이 매우 의미 깊었다”고 밝혔다.

바이오블리츠(생물다양성 탐사 대작전)는 생물 분야 권위자들과 일반인이 24시간 동안 특정 지역에서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생물 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과학 참여 활동이다.

바이오블리츠 코리아는 2010년 경북 봉화에서 시작돼 올해 10회를 맞았다. 내년 바이오블리츠는 1회 개최지인 경북 봉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진행된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