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칠순 맞은 ‘세계 최고령 새’ 위즈덤…올해도 엄마 됐다

등록 2021-03-03 13:43수정 2021-03-03 15:10

[애니멀피플]
미드웨이 환초 앨버트로스 ‘위즈덤’, 지난 11년 중 8년 번식 성공
알에서 깬 새끼를 보살피는 위즈덤. 발목의 붉은 가락지에 ‘Z333’이라고 적혀 있다.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제공.
알에서 깬 새끼를 보살피는 위즈덤. 발목의 붉은 가락지에 ‘Z333’이라고 적혀 있다.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제공.

1956년 12월 10일 북태평양 미드웨이 환초에 번식하러 온 레이산앨버트로스 한 마리에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생물학자가 가락지 표지를 채웠다. 그 일을 한 챈들러 로빈스는 2017년 98살의 나이로 타계했지만 가락지의 주인공은 올 2월 1일 또다시 엄마가 됐다.

올해 나이는 적어도 70살이다. 5살은 돼야 번식지에 돌아오는 습성에 비춰 처음 가락지를 채울 때 보수적으로 5살로 쳤기 때문에 실제 나이는 이보다 많을 수 있다.

로빈스는 2002년 너덜너덜해진 가락지를 교체하면서 이 새를 새로 발견했는데 그때 이미 세계 최고령인 51살이었다. 이후 이 새는 가락지로 기록이 남은 세계 최고령 새로 해마다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이 새의 이름은 ‘위즈덤’(지혜)이다. 쓰나미와 폭풍 등 자연재해는 물론이고 기후변화와 플라스틱 쓰레기, 유자망의 낚싯바늘을 피해 살아남은 데서 얻은 이름이다.

_______
연구자, 배우자 갈아치우며

70 나이인데도 위즈덤은 지난 11년 중 8년 동안 알을 낳아 새끼로 키워냈다.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제공.
70 나이인데도 위즈덤은 지난 11년 중 8년 동안 알을 낳아 새끼로 키워냈다.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제공.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은 지난해 11월부터 위즈덤이 품던 알에서 2월 1일 새끼가 깨어났다고 밝혔다. 새끼의 아빠는 2010년부터 함께 해 온 ‘아케아카마이’이다. 위즈덤은 지난 11년 중 8년 동안 번식에 성공했다.

레이산앨버트로스는 한 번 맺은 짝을 평생 유지한다. 그러나 위즈덤은 불가피하게 짝을 갈아치워 왔다.

베스 플린트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박사는 “짝이 먼저 죽거나 하면 어쩔 수 없이 새로운 파트너를 찾는다. 70살 이상인 위즈덤에게는 다른 짝이 있었을 것”이라고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전문가들은 위즈덤이 지금까지 낳은 새끼는 최소한 30∼36마리는 될 것으로 추정했다.

레이산앨버트로스는 해마다 알을 낳는 것도 아니지만 낳더라도 하나만 낳는다. 새끼 한 마리 한 마리가 무리 전체의 존속을 위해 중요한 이유다.

레이산앨버트로스는 날개를 편 길이가 2m에 이르는 큰 바닷새이다. 평생의 90%를 바다 위에서 비행하며 먹이를 찾는다. 딕 다이엘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레이산앨버트로스는 날개를 편 길이가 2m에 이르는 큰 바닷새이다. 평생의 90%를 바다 위에서 비행하며 먹이를 찾는다. 딕 다이엘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어미는 암·수가 번갈아 바다로 나가 먹이를 사냥한 뒤 지방이 풍부한 날치알과 오징어 기름을 토해 새끼에게 먹인다. 알에서 깬 뒤 5∼6달을 이렇게 정성껏 키워야 새끼는 비로소 둥지를 떠나 바다로 날아가 3∼5년 뒤 태어난 곳으로 돌아온다. 처음 짝짓기에 나서려면 대개 6∼8살이 되어야 한다.

레이산앨버트로스는 날개를 편 길이가 2m에 이르는 바닷새이다. 평생의 90%를 바다 위를 비행하며 바다 표면에 떠오르는 오징어나 물고기 등을 주로 밤에 사냥하며 보낸다. 비행 범위는 남한 면적의 100배가 넘는다.

미드웨이 환초는 3종의 앨버트로스를 비롯해 300만 마리 이상의 바닷새가 번식하는 곳이다.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제공.
미드웨이 환초는 3종의 앨버트로스를 비롯해 300만 마리 이상의 바닷새가 번식하는 곳이다.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 제공.

2차대전의 격전지이기도 한 미드웨이 환초는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레이산앨버트로스 세계 개체수의 70% 이상이 이곳에서 번식한다. 지난해 파악한 개체수는 모두 160만 마리로 49만여 개의 둥지를 틀었다.

_______
연간 플라스틱 5t 새끼 먹여

최근 미드웨이 서식지를 위협하는 건 쥐이다. 2015년부터 나타난 외래종 쥐는 알을 품는 앨버트로스에게 상처를 입히거나 죽인다.

새는 몇 주씩 굶주림과 갈증을 참고 알을 품는데 결코 둥지를 떠나려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방어수단이 없는 새는 쥐의 포식 위협에 고스란히 노출된다고 보호구역 당국은 밝혔다.

미드웨이 환초에서 죽은 채 발견된 바닷새 앨버트로스 한 마리의 위장에서 발견된 플라스틱 조각. 뉴질랜드 더니든 왕립 앨버트로스 센터에 전시된 것이다. 케이트 휴슨 제공
미드웨이 환초에서 죽은 채 발견된 바닷새 앨버트로스 한 마리의 위장에서 발견된 플라스틱 조각. 뉴질랜드 더니든 왕립 앨버트로스 센터에 전시된 것이다. 케이트 휴슨 제공

플라스틱 쓰레기도 새들을 위협한다. 태평양에는 각종 플라스틱 폐기물이 모이는 거대한 소용돌이가 있는데(▶태평양 한가운데 거대한 ‘플라스틱 수프’ 있다) 미드웨이 환초는 이를 체처럼 거른다. 해마다 수천t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변에 쌓인다. 어미가 먹이인 줄 잘못 알고 새끼에게 먹이는 플라스틱 쓰레기양도 5t에 이른다고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관리국은 추산했다.

기후변화도 큰 위협이다. 미드웨이 환초는 해수면이 조금만 상승해도 바다 밑으로 사라진다. 이에 대비해 새로운 앨버트로스 서식지를 만드는 작업이 이미 시작됐다.

플린트 박사는 “해마다 위즈덤이 돌아올 때마다 우리는 새가 얼마나 오래 살며 새끼를 기를 수 있는지 배운다”며 “위즈덤은 세계 모든 곳의 조류 애호가에게 기쁨을 선사할 뿐 아니라 이 멋진 바닷새와 그들이 미래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서식지를 어떻게 보전할 것인지 이해하도록 해 준다”고 말했다.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