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마네현 - 광고이어 기념일 지정 움직임
경북도 - 자매결연 파기등 대응책 고심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독도 문제와 관련해 ‘다케시마의 날’ 지정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경북도가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경북도는 일본 시마네현 의회 의원연맹이 23일 열리는 현 의회에서 2월 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지정하는 조례안을 상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시마네현 의회 의원연맹은 1905년 2월 22일 시마네현이 독도를 다케시마로 이름붙여 오키섬의 관할로 둔다는 내용의 고시를 발표한 것을 근거로 이날을 다케시마의 날로 지정하려 한다는 것이다. 또 시마네현은 ‘돌려달라 섬과 바다’라는 제목의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티브이 광고를 제작해 지난 2일부터 방영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는 최근 이의근 경북도지사가 일본 쓰미다 노부요시 시마네현 지사에게 보낸 항의서한에 대해 시마네 현쪽이 “영토문제는 한·일 양국이 외교협상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고, 15년간 이어져온 교류는 지속돼야 한다”는 내용의 답신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이는 사실상 다케시마의 날 지정 추진 등을 재검토할 의사가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런 시마네현 쪽 움직임에 대해 경북도는 지난 5일 이의근 경북지사 명의로 “경북도와 시마네현의 우호교류를 훼손할 수 있는 다케시마의 날 지정 및 독도문제와 관련한 티브이 광고에 대해 현과 현민들이 현명하게 대처하기 바란다”는 내용의 항의서한을 보냈다. 오는 15일에는 경북도의회가 이를 규탄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1989년 맺어진 경북도와 시마네현의 자매결연 파기 요청 및 교류주재원 철수 의뢰, 일본 망언 규탄 및 독도수호 펼침막 설치, 외교채널을 통해 일본 쪽에 항의공문 전달 등 대응책을 마련키로 했다. 하지만 경북도는 지나친 강경대응을 할 경우 오히려 일본쪽 의도에 말려들 수도 있다며 매우 신중한 자세다. 경북도 김남일 국제통상과장은 “우리 쪽의 민감한 대응은 자가발전으로 전 일본인과 세계인의 관심을 끌려는 시마네 현쪽이 바라는 것일 수 있다”며 “그래도 다케시마의 날이 지정될 경우 적극 대응할 수 밖에 없어 진퇴양난에 빠진 형국”이라고 고심을 내비쳤다.대구/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경북도 - 자매결연 파기등 대응책 고심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독도 문제와 관련해 ‘다케시마의 날’ 지정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경북도가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경북도는 일본 시마네현 의회 의원연맹이 23일 열리는 현 의회에서 2월 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지정하는 조례안을 상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시마네현 의회 의원연맹은 1905년 2월 22일 시마네현이 독도를 다케시마로 이름붙여 오키섬의 관할로 둔다는 내용의 고시를 발표한 것을 근거로 이날을 다케시마의 날로 지정하려 한다는 것이다. 또 시마네현은 ‘돌려달라 섬과 바다’라는 제목의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티브이 광고를 제작해 지난 2일부터 방영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는 최근 이의근 경북도지사가 일본 쓰미다 노부요시 시마네현 지사에게 보낸 항의서한에 대해 시마네 현쪽이 “영토문제는 한·일 양국이 외교협상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고, 15년간 이어져온 교류는 지속돼야 한다”는 내용의 답신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이는 사실상 다케시마의 날 지정 추진 등을 재검토할 의사가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런 시마네현 쪽 움직임에 대해 경북도는 지난 5일 이의근 경북지사 명의로 “경북도와 시마네현의 우호교류를 훼손할 수 있는 다케시마의 날 지정 및 독도문제와 관련한 티브이 광고에 대해 현과 현민들이 현명하게 대처하기 바란다”는 내용의 항의서한을 보냈다. 오는 15일에는 경북도의회가 이를 규탄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1989년 맺어진 경북도와 시마네현의 자매결연 파기 요청 및 교류주재원 철수 의뢰, 일본 망언 규탄 및 독도수호 펼침막 설치, 외교채널을 통해 일본 쪽에 항의공문 전달 등 대응책을 마련키로 했다. 하지만 경북도는 지나친 강경대응을 할 경우 오히려 일본쪽 의도에 말려들 수도 있다며 매우 신중한 자세다. 경북도 김남일 국제통상과장은 “우리 쪽의 민감한 대응은 자가발전으로 전 일본인과 세계인의 관심을 끌려는 시마네 현쪽이 바라는 것일 수 있다”며 “그래도 다케시마의 날이 지정될 경우 적극 대응할 수 밖에 없어 진퇴양난에 빠진 형국”이라고 고심을 내비쳤다.대구/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