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실련 등 영남지역 시민단체들 공대위 구성
신대구~부산 고속도로의 비싼 통행료와 공사 과정에서의 예산 낭비 등과 관련해 영남지역 시민단체들이 공동 대책위를 구성해 본격 대응하기로 했다.
공대위에는 부산경실련 등 부산시민연대 12개 단체와 대구경실련, 김해기독교청년회, 밀양참여시민연대 등 대구·경남 지역 시민단체와 화물연대 부산지부 등 3개 지부도 참여한다. 이들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가 부풀려진 사업비와 운영수입 보장으로 막대한 이익을 보장받고 있다며 공동대책위를 구성해 대응하기로 했다.
공대위 준비위는 13일 “신대구~부산 고속도로가 6000억원의 국비 지원과 정부보증을 포함해 70%에 가까운 재정 지원을 통해 건설됐음에도 불구하고 과다 책정된 통행료로 인해 차량들이 이용을 회피한다면 본래 목적을 이루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준비위는 “현재 통행요금이 한국도로공사 통행요금 체계로 환산하면 4000원에 불과하므로, 지금의 8500원에서 5000원 정도로 통행요금을 대폭 인하해 더 많은 운전자들이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사회적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공대위 쪽은 또 “해운대, 금정구 등 동부산권에서 이용하게 되면 구서 나들목~대동간 고속도로 통행료 1300원을 추가 지불하고, 수성나들목~동대구간과 김해 지역에서 통행료를 이중으로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이밖에 공대위는 “건설회사들의 실행계획서 상 원가를 분석했더니 실제 이윤 규모가 예상 이윤 1467억원 보다 몇배나 많은 규모로 나타났다”며 이 부분의 개선도 촉구했다.
앞으로 공대위는 밀양에 있는 신대구~부산고속도로㈜를 항의 방문한 뒤 공사과정에서의 예산 낭비와 비싼 통행료 등에 대해 전면적인 대책을 요구할 예정이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