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지난 15일 대구지하철 노조 위원장을 구속하자 대구지역 노동계가 반발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대구본부는 17일 대구지하철공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공안당국이 5개월 전의 사건을 들추어내 구속수사를 벌이는 것은 노동조합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이 위원장을 석방하고, 노동 3권과 노·사 자율 교섭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대구본부는 “합법적 쟁의기간 중 노조 위원장을 현행범이 아님에도 구속하는 것은 기존의 관행을 뛰어넘는 이해하기 힘든 행위”라며 “합법적 쟁의행위를 구속사유로 삼은 것 또한 검·경의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라고 비난했다.
대구본부는“지하철 공사 쪽도 고소고발을 취하하고 대화의 테이블로 나서야 한다”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23일 대규모 집회를 시작으로 지하철 파업을 포함한 모든 투쟁을 벌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현행범이 아닌 고소고발 사건은 처리가 늦어질 수밖에 없다”며 “노조쪽이 제때 출두를 하지 않는 등 조사가 지연돼 최근에야 조사를 마치고 검찰지휘를 받아 구속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대구달서경찰서는 지난 15일 대구지하철노조 위원장 이원준씨(35)를 업무방해혐의로 구속했다. 이씨는 지하철 2호선이 개통되던 지난해 10월18일 달서구 상인동 지하철공사 본사 앞에서 컨테이너를 설치하고 농성을 벌여 업무를 방해한 데 이어 1개월 뒤인 11월18일 지하철 2호선 반월당역에서 미신고 집회를 벌인 혐의 등을 사고 있다.
대구/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