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처호소” 탄원·성명서 이어져…참여연대는 “중단하라”
오늘날의 현대자동차를 태동시킨 울산에서 횡령·배임 등 혐의로 27일 사전 구속영장이 청구된 정몽구 현대·기아자동차그룹 회장의 선처와 처벌을 원하는 탄원·성명전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작업반장들의 모임인 반우회 회원 636명은 지난 26일 대검찰청에 “현대자동차가 지금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국민들의 사랑 속에 수출 역군으로 국가경제 발전에 더욱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다시 한번 달라”며 정 회장의 선처를 호소하는 탄원서를 냈다. 이 회사 퇴직 임직원 500여명도 “현대·기아자동차가 더욱 성숙되고 세계적인 기업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기회를 달라”고 대검찰청에 탄원서를 냈다. 울산여성시이오클럽, 소상공인연합회, 팔각회, 로타리 등 울산 지역 25개 단체는 “현대차가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에 이르기 때문에 현대차의 경영공백이 장기화되면 울산은 심각한 공황에 빠질 수 있다”며 “울산은 물론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현대차 사태가 원만히 마무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울산참여연대는 “경제 악영향이라는 미명 아래 울산 상공계 등이 정 회장의 선처를 호소하는 것은 올바른 경제구조와 기업의 투명성, 엄격한 법집행을 요구하는 수많은 국민들의 염원을 보지 못하는 부끄러운 모습”이라며 “일부 지역 정·재계 인사들은 부적절한 행동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여론조사기관인 ㈜한길리서치가 25일 울산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현대차그룹 사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61.9%가 불구속, 28.8%가 구속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울산/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