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장 등 조사결과 큰 차이 후보·유권자 혼란…고소사태까지
5·31 지방선거와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가 들쭉날쭉한데다 일부 조사는 부실해, 이를 놓고 후보자가 조사자와 언론기관을 고소하는 등 부작용을 낳고 있다.
여론조사는 조사 시점과 방법, 설문내용, 표본 등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밖에 없지만, 일부 선거구는 큰 차이를 보여 유권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한국방송> 전주총국과 <전북도민일보>는 전북지역 ㅇ대학연구소에 여론조사를 의뢰해 군산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문동신 후보(27.2%)가 열린우리당 함운경(20.3%) 후보를 6.9% 포인트 앞섰다고 최근 발표했다.
그러나 전문 여론조사기관을 통해 조사한 <전주문화방송>은 함 후보(28.9%)가 문 후보(12.7%)를 16.2% 포인트 차이로 제압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전주방송>과 <전라일보>도 함 후보(21.5%)와 문 후보(13.5%)가 8% 포인트 차이를 보인다고 다음날 발표했다.
이 선거구에서 뒷순위를 차지한 후보 6명은 “언론사마다 1~2위가 다르고 격차마저 현저해 도저히 믿을 수 없는 여론조사”라고 주장했다.
전주시장 선거에 나선 진봉헌 후보는 “대학연구소의 조사는 자격이 없는 교수가 조사기관 명의를 사칭하고 자기대학 학생 등을 동원해 엉터리로 했고, 신뢰할 수 없는 결과를 언론사에 건넸다”며 조사자 등을 상대로 2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민주노동당도 “대학연구소의 조사는 시행기관마저 없는 유령 여론조사”라고 주장했다.
파문이 커지자 <한국방송> 전주총국은 지난 24일 밤 9시 뉴스를 통해 이번 여론조사와 보도내용의 부적절성 등을 해명했다. ㅇ대학 유아무개 교수는 이날 “비용의 제약으로 표본수를 늘릴 수 없었지만, 특정한 의도나 목적없이 객관적으로 조사했다”고 설명했다.
권혁남 전북대 교수는 “최근 여론조사의 문제점은 무응답을 제외한 것”이라며 “무응답도 유권자들의 의견으로 응답자만을 대상으로 보도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평가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