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점상 반발·성곽 복원과 상충…곳곳 걸림돌
인수위 “협의체 꾸려 논의”
오세훈 서울시장 당선자가 선거 과정에서 내건 ‘동대문운동장 공원화’ 공약이 곳곳에서 충돌을 빚고 있다. 이곳에서 영업을 하고 있는 900여 명 풍물시장 노점상들은 생계 대책을 요구하며 집단 반발을 하고 있다. 또한 동대문운동장은 서울시와 문화재청이 앞으로 복원을 계획하고 있는 서울성곽이 지나가는 자리여서 공원화 방안과 성곽복원 계획이 상충한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노점상 생계대책 수립 난제=오 당선자 서울시장직무인수위원회는 12일 동대문운동장 공원화 계획과 관련해 협의체를 꾸리겠다고 밝혔다. 협의체엔 인수위쪽 인사 5명, 서울시 공무원 5명, 노점상 대표 5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제타룡 공동인수위원장은 “아무런 대책 없이 노점상을 내쫓을 수 없다고 판단해 의견을 모으는 창구로 협의체를 가동하기로 했다”며 “노점상 이전 터를 마련하거나 지하를 개발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제 위원장은 “공원화 계획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걸려 있어 이를 해결하려면 2년 정도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동대문운동장 공원화가 취임 후 당장 추진하기 쉽지 않은 난제임을 시인한 것이다.
오 당선자는 핵심 선거 공약으로 ‘강북 도심 부활’을 제안하며 그 방안의 하나로 동대문운동장 공원화를 약속했었다. 운동장 일대 2만5천평 터 중 2만 평은 녹지로 조성하고 나머지 5천 평에는 프랑스 파리의 퐁피두센터 같은 복합문화공간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운동장 안에서 장사를 하고 있는 노점상들은 이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달 서울시청 앞으로 몰려와 항의 시의를 벌였고, 지난 8일엔 대학로에서 전국노점상총연합회 회원 등 5천여 명이 모여 ‘풍물시장 노점상의 생존권 보장’ 집회를 열기도 했다.
동대문운동장에 풍물시장 노점이 들어선 것은 2003년 서울시가 청계천 복원 공사를 시작하며 주변 노점상 생계 대책을 위해 임시로 운동장 내 축구장 2300여 평을 내준 것에서 비롯됐다. 당시 894명이 ‘운동장 노점상’으로 등록했고 이들은 현재 운동장 안팎에서 영업을 벌이고 있다. 이 때문에 동대문운동장 노점상 문제는 이명박 시장이 오 당선자에게 떠넘길 문제가 아니라, 이 시장 스스로 해결책을 마련하고 떠나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서울성곽 복원 계획과도 상충= 동대문운동장 공원화의 또 다른 걸림돌은 이곳이 서울성곽 옛 터와 겹친다는 것이다. 문화재청 사적과는 “동대문운동장은 흥인지문과 광희문을 잇는 옛 서울성곽 터에 자리잡고 있다”며 “성곽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를 통해 연구용역을 발주한 상태”라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9월 서울성곽을 역사적 고증에 따라 복원·정비하고, 장기적으로는 서울을 유네스코 ‘세계역사도시’로 등재하는 것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숙정문(북대문), 돈의문(서대문), 숭례문(남대문), 흥인지문 4대문을 잇는 서울성곽은 전체길이가 약 18㎞로 추정되며, 1975년부터 복원사업을 벌인 결과 현재 약 10.5㎞가 복원됐다. 동대문운동장은 흥인지문과 광희문을 연결하는 730m 구간 사이에 있으며, 옛 문헌 자료들은 이곳이 성곽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유창수 서울시장직무인수위원회 정책실장은 “서울성곽 터와 겹친다고 해서 동대문운동장을 공원으로 만들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며 “성곽 모양을 그대로 살리는 방법과 이곳이 성곽이었음만을 표시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해결책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조기원 기자 edigna@hani.co.kr
유창수 서울시장직무인수위원회 정책실장은 “서울성곽 터와 겹친다고 해서 동대문운동장을 공원으로 만들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며 “성곽 모양을 그대로 살리는 방법과 이곳이 성곽이었음만을 표시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해결책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조기원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