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과거사위 발표…해남 29·완도 6명 신원 파악
유족회 “희생자 수백명…본격조사 민간단체가 나서야”
유족회 “희생자 수백명…본격조사 민간단체가 나서야”
한국전쟁 때 경찰관으로 구성된 임시부대가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공식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찰청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이하 과거사위)는 22일 전남 나주경찰서에서 ‘나주부대 민간인 피해 의혹사건’ 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당시 해남읍 등 5곳에서 희생된 민간인 35명의 신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른바 ‘나주부대’ 사건은 나주경찰서 경찰관 부대가 1950년 7~10월 전남 해남~완도~진도로 후퇴하면서 인민군처럼 위장해 환영대회에 나온 민간인들을 학살한 현대사의 비극을 일컫는다.
과거사위는 이 부대가 7월26일 인민군에 밀려 남쪽으로 퇴각하면서 해남읍 주민 14명과 마산면 상등리 주민 15명을 살해한 것으로 조사했다. 또 7월28일 완도 선착장에서 인민군 환영대회에 나온 민간인 1명을 처형하고 8월20일께 완도군 노화도 주민 4명과 소안도 주민 1명을 사살한 것으로 파악됐다.
과거사위는 “완도읍과 노화도 2곳에서 경찰이 인민군으로 위장했거나 주민들이 경찰을 인민군으로 오인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경찰이 민간인을 의도적으로 희생시키기 위해 인민군으로 위장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민간인 희생자가 856명에 달한다는 유족회의 주장과 관련해, “보도연맹사건·해남농민사건 등의 사망자들이 포함됐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해남군유족회 민부삼(66)씨는 민부삼씨는 “경찰이 이 사건을 조사한 것이 의미가 있지만, 첫 걸음일 뿐 중립적 민간단체가 총정리할 필요가 있다”며 “당시 무고하게 희생당한 민간인 희생자들의 위령탑 건설 등 명예회복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보희(70) 완도군 유족회장도 “당시 인민군으로 위장해 환영하는 사람들을 사살해 희생당한 사람들이 수백명에 달한다”며 “희생자들의 신청을 받고 있으므로 이번 경찰 조사를 사실로 확정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한편, 경찰청 과거사위는 10대 사건의 하나로 ‘나주부대 사건’을 선정하고 생존자와 목격자, 유족들을 상대로 지난해 9월부터 최근까지 현장 조사를 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