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오후 경북 경주시 양북·양남·감포 지역에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유치를 촉구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경주/연합뉴스
경주시 양북·양남·감포 주민 3천명 ‘유치 촉구’ 집회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본사 이전과 월성원전의 방사성 폐기물 임시저장고 증설을 둘러싸고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방폐장) 터 인접 지역 주민들이 대규모 집회를 열며 실력행사에 나서는 등 진통을 겪고 있다.
경북 경주시 양북·양남·감포 등 3개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방폐장 유치확정에 따른 지역대책위는 30일 오후 2시 경주 월성원자력본부 앞에서 주민 3천여명(경찰추산)이 참가한 가운데 ‘한수원 본사 유치 촉구 결의대회’를 열었다.
주민들은 이날 집회에서 한수원 본사를 방폐장 터 인접 지역으로 이전하고, 최근 논란을 빚고 있는 사용후 핵연료 저장시설 증설 계획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주민들은 이날 집회를 시작으로 한달 동안 월성원전 앞에서 500여명씩 릴레이 시위를 벌이기로 했다.
배칠룡(53) 대책위 집행위원장은 “한수원 쪽이 애초 방폐장 터 인접 지역으로 본사를 이전하겠다던 말을 바꿔 30㎞ 떨어진 경주시내로 이전하려 한다”며 “본사가 방폐장에서 5㎞ 이내 떨어진 곳에 들어서야 방폐장의 안전성이 보장된다”고 주장했다. 또 “월성원전이 주민 협의도 거치지 않고 사용후 핵연료 저장고를 3천여t 이상 증설하려 한다”며 “기존 핵연료 임시저장고에 대한 대책부터 세우라”고 촉구했다.
한수원은 애초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 특별법에 따라 2010년까지 직원수 900여명의 본사를 경주로 옮기기로 하고 이달 말까지 이전 지역을 확정할 예정이었으나, 방폐장 인접 지역 주민들의 요구 및 경주시와의 협의 부진, 노조의 이전반대 등으로 진전을 보지 못하고 최근 본사 이전 대상지역 선정을 9~10월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한수원과 경주시는 다음달 초 지역주민, 시민단체 대표, 학계, 종교계, 한수원 및 경주시 직원, 경주시의원 등 20여명으로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고 한수원 본사 이전 대상지역 선정방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지만 주민들이 민관협의체 참여를 거부하고 있어 어려움이 예상된다.
경주/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