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성기구 500명 여론조사
대구시민의 7%가 ‘바다 이야기’ 등 사행성 오락을 해 본 경험이 있고, 10명 가운데 6명이 바다 이야기 파문을 권력형 비리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투명성기구 대구본부는 최근 여론조사기관 아이너스 리서치와 함께 대구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했더니 성인오락실 운영과정에서 단속공무원과의 결탁 가능성 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8.8%가 ‘모든’ 업소에서 비리가 있었을 것이라고 응답했다고 1일 밝혔다. 비리가 ‘다수’ 업소에서 발생했을 것이라는 응답자는 36.0%, ‘소수’ 업소에서 발생했을 것이라는 응답자는 9.2%였으며, 비리가 없었을 것이라는 응답자는 0.6%에 불과했다.
바다 이야기 파문과 관련해서는 ‘권력형 비리’(61.8%)라는 응답이, ‘정책과정의 오류’(18.4%)라는 대답 보다 훨씬 많아 공직사회에 대한 국민불신이 심각한 수준임을 드러냈다. 10.6%는 ‘두 가지 원인이 복합적’이라고 답했다. 또 응답자의 7.0%가 바다 이야기 등 사행성 성인오락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경험자 가운데 57.1%가 이로 인해 금전적인 면 등 일상생활에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투명성기구 대구본부는 “본인이 아는 사람 중에 오락실을 이용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는 비율이 33.4%에 이르러 실제 이용시민과 피해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밖에 영상물 등급위원회의 성인오락기 심사기준인 1시간당 이용상한액 9만원에 대해서는 ‘너무 많다’는 응답이 90.2%나 됐다. 시민들이 제시한 적정 이용상한액 평균값은 1만6700원이었다.
한편, 로또 복권, 경마, 정선 내국인 카지노, 경륜·경정 등 정부가 허용한 각종 사행산업에 대해서는 61.2%가 “공익목적이라도 허용해서는 안된다”고 응답했고, “허용할 수 있다”는 의견은 35.2%에 불과했다. 이 가운데 로또 복권은 허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74.4%나 됐지만, 경마나 카지노 등 나머지 종목에 대해서는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63~70%대에 이르렀다.
대구/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