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시민단체 반대대책위 구성
청하면 주민대표 시청 항의방문 정장식 포항시장의 최근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 유치검토발언에 대해 시민단체가 강력히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포항환경운동연합, 노동과 복지를 위한 포항시민연대, 포항여성회 등 포항지역 11개 시민단체는 정 시장의 발언과 관련해 8일 오전 10시 기자회견을 열어 “핵폐기물 처분장 포항유치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중저준위 핵폐기물 처분장 포항유치를 검토하겠다는 지난 4일 정시장의 발언은 한마디로 시장이 시민에게 던진 핵폭탄”이라고 비난했다.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3000억 정도를 지원하고 한국수력 원자력 본사를 이전하는 등 몇가지 당근을 내놓는다지만 포항시민은 거기에 현혹될만큼 어리석지 않다”며 “핵폐기물 처분장이 포항에 들어온다면 포항의 농·수산업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 시장이 핵폐기물 처분장 유치를 포기하지 않고 구체화한다면 시민과 함께 시장 퇴진운동을 벌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11개 시민단체들은 7일 핵폐기물처분장 포항유치반대 대책위를 구성한데 이어 9일 회의를 열어 앞으로 투쟁계획을 결정키로 했다. 이에 앞서 1989년 부터 정부가 방폐장 후보지로 지정하려다 주민들의 반대로 끝내 무산됐던 포항시 북구 청하면 주민대표 10명이 7일 포항시청을 방문해 방폐장 유치에 반대 견해를 밝히는 등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정 시장은 지난 4일 포항시 직원들이 참석한 정례 조회에서 원전수거물 관리시설 유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일부 지자체에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면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안전성, 지역 발전에 주는 이점 등을 면밀히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정장식 포항시장은 “당장 방폐장을 유치하겠다는 게 아니라 관련 지원법이 통과됐으니 환경문제와 지역에 어느 정도 경제적 혜택을 줄 수 있는지 주민 전체 의견을 수렴해 검토해 보자는 뜻이었다”고 밝혔다. 한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유치지역지원 특별법에는 (약 3천억원 규모의) 특별 지원금을 지원하며, 반입 수수료(연간 50억∼100억원 규모예상) 제도를 도입하고 한국수력원자력㈜ 본사를 이전한다는 등의 내용을 명문화하고 있어 지자체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포항/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청하면 주민대표 시청 항의방문 정장식 포항시장의 최근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 유치검토발언에 대해 시민단체가 강력히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포항환경운동연합, 노동과 복지를 위한 포항시민연대, 포항여성회 등 포항지역 11개 시민단체는 정 시장의 발언과 관련해 8일 오전 10시 기자회견을 열어 “핵폐기물 처분장 포항유치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중저준위 핵폐기물 처분장 포항유치를 검토하겠다는 지난 4일 정시장의 발언은 한마디로 시장이 시민에게 던진 핵폭탄”이라고 비난했다.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3000억 정도를 지원하고 한국수력 원자력 본사를 이전하는 등 몇가지 당근을 내놓는다지만 포항시민은 거기에 현혹될만큼 어리석지 않다”며 “핵폐기물 처분장이 포항에 들어온다면 포항의 농·수산업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 시장이 핵폐기물 처분장 유치를 포기하지 않고 구체화한다면 시민과 함께 시장 퇴진운동을 벌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11개 시민단체들은 7일 핵폐기물처분장 포항유치반대 대책위를 구성한데 이어 9일 회의를 열어 앞으로 투쟁계획을 결정키로 했다. 이에 앞서 1989년 부터 정부가 방폐장 후보지로 지정하려다 주민들의 반대로 끝내 무산됐던 포항시 북구 청하면 주민대표 10명이 7일 포항시청을 방문해 방폐장 유치에 반대 견해를 밝히는 등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정 시장은 지난 4일 포항시 직원들이 참석한 정례 조회에서 원전수거물 관리시설 유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일부 지자체에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면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안전성, 지역 발전에 주는 이점 등을 면밀히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정장식 포항시장은 “당장 방폐장을 유치하겠다는 게 아니라 관련 지원법이 통과됐으니 환경문제와 지역에 어느 정도 경제적 혜택을 줄 수 있는지 주민 전체 의견을 수렴해 검토해 보자는 뜻이었다”고 밝혔다. 한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유치지역지원 특별법에는 (약 3천억원 규모의) 특별 지원금을 지원하며, 반입 수수료(연간 50억∼100억원 규모예상) 제도를 도입하고 한국수력원자력㈜ 본사를 이전한다는 등의 내용을 명문화하고 있어 지자체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포항/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