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민 잇단 반발…서울시도 일단 거부의사
“원지동 추모공원 해결뒤 협의 가능” 불씨 남겨
“원지동 추모공원 해결뒤 협의 가능” 불씨 남겨
경기 하남시가 서울시의 화장장을 유치해 지하철 건설 비용 등 재원조달을 추진해온 것으로 드러나(〈한겨레〉 10월17일치 16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서울시는 지하철 건설비용이 너무 높아 일단 보류했으나 협의는 계속될 수 있다고 밝혀 빅딜의 불씨는 언제든 재점화될 것으로 보인다.
돈만 주면 무엇이든 유치한다?=김황식 하남시장은 최근 “전체의 92%가 개발제한구역인 하남시는 1년 예산 2천억원 중 실제 쓸 수 있는 돈은 400억원에 불과하다”며 “광역화장장 등 수도권의 각종 환경시설을 유치해 각종 사업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에 “경기도와 서울시민을 위한 화장장을 유치해 지하철 5호선을 상일동~하남시청(총 6.8㎞·4개 역)까지 끌어오는 재원으로 활용하겠다”며 “이를 위해 시장직을 걸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음식물쓰레기처리장을 유치해 60만평 규모의 수목원 조성, 종합터미널 건설, 풍물거리 조성 등에 들어가는 1조1300억원의 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하남시는 이를 위해 올해 말까지 용역과 주민공청회 등의 절차를 마무리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하남시는 경기도 국정감사 때 빅딜 계획이 발표된 이튿날인 지난 17일 광역화장장 유치 추진비용으로 4억원의 예산안을 마련해 의회에 요청했다.
그러나 이런 계획이 알려지자 반대 움직임이 거세게 일고 있다. 최근 하남시청 홈페이지엔 부동산가격 하락 등을 우려해 이를 반대하는 글이 잇따르고 있으며, 지난 16일엔 주민 20여명이 김 시장의 시정설명회장을 집단 방문해 반대 의견을 밝혔다.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열린우리당 문학진 의원(하남)도 “지하철은 건설비용보다도 운영적자가 크기 때문에 단순한 빅딜이 아니라 광역철도계획에 포함시키는 방법 등으로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공식적으로는 반대=화장장 빅딜과 관련해 서울시는 공식적으로는 비용문제 등을 들어 거부의사를 밝힌 상황이다. 권영진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화장장 건설 비용이 1300억원이 드는 데 반해 지하철 연장 비용은 시가 5300억원이나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어렵다고 판단했다”며 “원지동 추모공원 문제가 해결돼야 하남시와 협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논의의 불씨는 언제라도 살아 있다”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서울시 권택상 복지건강국장도 “경기도와 광역화장장을 함께 쓰는 문제는 논의하고 있는 사항”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11월께 원지동 일대 주민들이 낸 소송이 대법원에서 판결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시는 승소한다고 하더라도 화장장과 함께 국립의료원을 원지동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그린벨트를 해제해달라고 건설교통부에 요구할 예정이다. 이명박 전 시장 때 벌어졌던 상황이 재연되는 셈이다. 건교부가 이를 수락하지 않을 경우 다시 하남으로 눈을 돌려볼 수 있으나 하남시민이 지하철 빅딜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으므로 지하철 빅딜은 험난한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하남/김기성,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