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천·대구·대전 50만이상 구청8곳
인사·재정·사무등 권한 확대 활동 돌입 서울, 인천, 대구, 대전에서 인구 50만명이 넘는 구청 8곳이 “재정과 조직, 사무 등에서 권한을 늘려달라”며 ‘전국 거대 자치구 협의회’를 결성한다. 이들 자치단체들은 16일 오전 11시 대구시내 한 호텔에서 모임을 열어 협의회를 꾸린뒤 본격적인 활동에 나선다. 이 협의회에는 인구 63만여명의 서울 노원구, 54만명 안팎인 서울 강서구, 관악구, 강남구, 60만명의 송파구와 대구 달서구, 55만명과 50만명인 인천 부평구와 대전 서구 등 8곳에서 참여한다. 거대 자치구들은 “인구가 불어나면서 행정수요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지만 자치능력이 떨어져 제대로 된 행정 서비스를 하지 못한다”며 “자치조직과 인사, 재정, 사무 등의 분야에서 권한을 늘려달라”는 내용을 뼈대로 하는 건의문을 국회와 정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정부는 경기도 수원, 성남, 부천, 경남 창원, 경북 포항, 충북 청주, 전북 전주 등 인구 50만명이 넘는 도시 12곳을 ‘특례도시’로 지정해 재정과 조직 등에서 기초자치단체의 권한을 늘려주는 방안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또 특례도시는 광역자치단체를 거치지 않은 채 중앙정부와 직접 협의할 수 있는 길이 틔워주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대구시 달서구 관계자는 “정부가 특례도시에만 권한을 늘려주면, 인구 50만명이 넘는 구청과 앞으로 격차가 더욱 벌어져 행정복지 서비스가 떨어질 수 있다”며 “거대 자치구 협의회를 통해 권한을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대구/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인사·재정·사무등 권한 확대 활동 돌입 서울, 인천, 대구, 대전에서 인구 50만명이 넘는 구청 8곳이 “재정과 조직, 사무 등에서 권한을 늘려달라”며 ‘전국 거대 자치구 협의회’를 결성한다. 이들 자치단체들은 16일 오전 11시 대구시내 한 호텔에서 모임을 열어 협의회를 꾸린뒤 본격적인 활동에 나선다. 이 협의회에는 인구 63만여명의 서울 노원구, 54만명 안팎인 서울 강서구, 관악구, 강남구, 60만명의 송파구와 대구 달서구, 55만명과 50만명인 인천 부평구와 대전 서구 등 8곳에서 참여한다. 거대 자치구들은 “인구가 불어나면서 행정수요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지만 자치능력이 떨어져 제대로 된 행정 서비스를 하지 못한다”며 “자치조직과 인사, 재정, 사무 등의 분야에서 권한을 늘려달라”는 내용을 뼈대로 하는 건의문을 국회와 정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정부는 경기도 수원, 성남, 부천, 경남 창원, 경북 포항, 충북 청주, 전북 전주 등 인구 50만명이 넘는 도시 12곳을 ‘특례도시’로 지정해 재정과 조직 등에서 기초자치단체의 권한을 늘려주는 방안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또 특례도시는 광역자치단체를 거치지 않은 채 중앙정부와 직접 협의할 수 있는 길이 틔워주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대구시 달서구 관계자는 “정부가 특례도시에만 권한을 늘려주면, 인구 50만명이 넘는 구청과 앞으로 격차가 더욱 벌어져 행정복지 서비스가 떨어질 수 있다”며 “거대 자치구 협의회를 통해 권한을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대구/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