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부터 나돌아…시, 감사 착수
광주시가 추진중인 서광주역 부근 세하택지개발 예정지구의 도면이 외부로 흘러나가면서 부근 땅값이 치솟는 부작용이 이어지고 있다.
시는 16일 “광주시 서구 세하·벽진·매월동 일대 자연녹지·생산녹지·개발제한구역 등 28만4천평에 아파트 6000가구를 공급한다는 구상에 따라 택지개발 예정지구 지정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시는 2005년 11월 광주시도시공사가 이 일대의 택지개발 초안을 만들어 사업을 제안하자, 2006년 9월 이 초안을 토대로 구체안을 만들어 택지개발 예정지구 지정을 건설교통부에 신청했다.
시는 상반기 안에 주민 공람과 부처 협의 등 절차를 마치면 7~8월께 이 일대가 택지개발 예정지구로 고시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지정 신청 한달 뒤인 지난해 10월부터 이곳의 개발 윤곽을 담은 도면이 일대 부동산업체에 나돌면서 일대에 투기 조짐이 일었다.
문제의 도면은 애초 초안을 받은 시가 도시공사에 재작성을 요구해 만들어진 가로 40㎝ 세로 50㎝ 크기의 지형도로 도시공사와 광주시에 원본이 있다. 이 도면에는 서광주역~백마산~영산강을 잇는 들판·임야에 들어설 도시계획도로, 단지내 도로, 주거·상업·녹지지역, 학교·공원 따위 공공시설 등의 윤곽이 표시돼 개발 규모와 토지 이용을 보여준다.
이런 도면이 나돌자 이 일대 땅값은 지난해 3월 평당 20만원에서 최근 100만원까지 뛰어올랐다. 건축물 신축과 유실수 식재 등 보상을 노린 각종 행위도 성행했다.
시는 유출된 도면이 공문서로 드러나자 감사에 착수했다.
박광태 광주시장은 “개발정보가 사전에 새나가 행정의 신뢰에 먹칠을 했다”며 “진상 조사에 따라 사업의 재검토나 시행자의 교체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박광태 광주시장은 “개발정보가 사전에 새나가 행정의 신뢰에 먹칠을 했다”며 “진상 조사에 따라 사업의 재검토나 시행자의 교체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