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학연구센터 펴낸 ‘울산인 삶과 문화’서 지적
“요직 장악 외지인 경계…긍정적 관계설정 필요”
“요직 장악 외지인 경계…긍정적 관계설정 필요”
급속한 공업화로 외지 인구가 크게 늘어 1997년 광역시로 승격된 울산에서 토박이들의 영향력은 얼마나 될까?
지난해 3월 설립된 울산발전연구원 부설 울산학연구센터가 부산대 사회학과 박재환 교수와 일상성·일상생활연구회에 맡겨 12일 280여쪽 분량의 책으로 펴낸 〈현대 울산인의 삶과 문화〉에서 토박이의 구실과 영향력, 토박이와 외지인의 갈등 원인과 해법이 제시돼 눈길을 끈다.
◇정치·행정요직 장악 박 교수팀은 62년 울산이 특정 공업도시로 선정됐을 당시에 울산에 살고 있었던 이들과 그 자녀들을 토박이로 정의했을 때 현재 108만명의 인구 가운데 최소 13만~15만명을 토박이로 추정했다.
하지만 외지인에 견줘 월등히 적은 토박이들은 정치·행정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울산시장과 5개 구·군 단체장 모두가 울산 출신이며 시의원 19명 가운데 73.6%(14명)가 역시 토박이들이다. 한나라당 시의원 15명 가운데 14명이 울산에서 태어난 반면 민주노동당 의원 4명은 모두 외지인이다. 울산시와 5개 구·군 3·4급 고위 공무원의 약 30%도 울산에서 태어났다. 울산대 전체 교수 가운데 울산 출신이 10%도 채 되지 않고 울산시에 등록된 비영리 민간단체 170여개 가운데 사회의식이 강한 대표적인 시민단체들의 활동가 대부분이 외지 출신인 것과 대조적이다.
◇토박이와 외지인 갈등 박 교수팀은 “어느 사회나 토박이와 외지인 사이의 갈등은 존재한다”며 “이는 토박이들이 새로 유입되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침해하지 않을까 우려하는 속성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새로운 변화에 대한 수용성의 정도가 높은 토박이도 있지만 자신의 이익을 지키려 외지인에 대해 경계심과 적대감을 드러내는 보수적 토박이가 지역 통합과 지역 정체성 형성을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박 교수팀은 “토박이들이 외지인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거나 외지인들이 지역에 무관심한 점 등이 개선되지 않으면 모래알 공동체로 존재할 수 밖에 없다”며 “전통적 엘리트와 외지에서 유입된 새로운 엘리트 사이의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관계설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의 정치·행정지도자들이 토박이와 외지인의 간격을 좁혀나가는 방향으로 행정을 펼치면 지역 유대감과 정체성이 깊게 형성돼 도시 성장과 함께 시민들의 삶의 질이 더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