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강북교육청, 불법 관행 전면조사 안 해
업체 “교장단에 사례금줬다” 2월 이미 진술
업체 “교장단에 사례금줬다” 2월 이미 진술
속보=울산 강북교육청이 공식 교실 사용료 외에 뒷돈을 받은 울산 ㅁ중 감사를 벌이면서 출판·도서업체들이 다른 학교에도 뒷돈을 줬다는 진술을 확보하고도 석달여 동안 전면조사를 벌이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
강북교육청은 2004~2006년 교실 사용료 외에 ㅁ중 전·현직 교장·교감 4명한테 17차례에 걸쳐 5만~20만원씩 405만원의 뒷돈(관리수당)을 건넨 민간업체 6곳 가운데 2곳의 대표한테서 “다른 학교에도 뒷돈을 줬다”는 확인서를 올 2월7~9일 받아낸 사실이 9일 확인됐다. ㅇ사 대표 ㅈ씨는 확인서에서 “지난해 4차례 교실을 빌리면서 사용료 외에 교장·교감한테 각 10만~20만원씩 현금 162만원을 줬다”며 “다른 학교에도 교실을 빌리면서 교장·교감한테 각 10만원씩 지급했다”고 말했다. ㅎ사 대표 ㄱ씨도 “2004~2006년 9차례 교실을 빌리면서 교장·교감한테 각 7만~10만원씩 144만원의 관리수당을 줬다”며 “관리수당 단가 책정은 다른 지역과 비슷한 수준으로 처리했다”고 진술했다.
ㄱ씨는 9일 〈한겨레〉와 전화통화에서 “전국에서 동시에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본사에서 교실 사용료를 책정하는데 울산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남은 사용료 가운데 일부를 관리수당으로 지급하고 있다”고 실토했다.
하지만 강북교육청은 이런 사실을 안 지 석달여 지나도록 전면 실태조사를 벌이지 않았다. 울산시교육청도 지난달 초 강북교육청의 감사보고서에서 이런 내용을 확인하고도 전면 실태조사와 함께 근절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
ㅎ사 대표 ㄱ씨는 “학교를 잘 빌려주지 않으려 해서 어쩔 수 없이 학교 관리자들한테 별도의 사례금을 줄 수 밖에 없다”며 “사례금 관례를 없애려면 운동장을 주민한테 개방하듯이 교실 대여기준에 따라 투명하게 빌려주면 된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