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환 시의원 “6년새 11곳 늘면서 중소상점 매출 줄어”
“대구시가 대형마트를 마구잡이로 허가해 줘 지역경제가 고사위기에 놓였습니다.”
11일 열린 대구시의회 임시회의에서 대형마트가 도마에 올랐다. 시의회 김충환(북구·사진) 의원이 집계한 자료를 보면, 1997년 유통시장이 개방된 이후 2000년말 대구에는 매장면적 900평 이상 대형마트가 6곳에 머물렀지만 6년만에 17곳으로 늘어났다. 대구에서 영업중인 대형마트는 현재 이마트 8곳, 홈플러스 4곳, 홈에버 3곳, 하이퍼마트 1곳, 코스트코 홀세일 1곳 등이다. 대형마트들은 해마다 빠른 속도로 늘어나며 매출액도 연간 1천억원씩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00년말에 대형마트 6곳에서 7100억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2001년 1조원을 넘어섰고, 이후 해마다 늘어나 2006년에는 1조4100억원을 웃돌았다. 6년만에 매출액이 98%나 늘어난 셈이다. 이 기간동안 대구시내 백화점 7곳의 매출액 증가율이 33%인데 견줘보면 대형마트들의 신장세가 눈에 띄인다. 재래시장과 영세상인들의 매출액 감소는 정확하게 집계되지는 않지만 대형마트 1곳이 들어서면 인근에 자리잡은 중소상점 350곳에서 매출액이 줄어드는 등 피해를 입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대형마트 17곳에서 연간 1조원 이상의 자금이 대구지역 밖으로 흘러나가 지역경제 침체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대구지역에는 여기에다 2010년에 수성구 범어동에 5300평 짜리 홈에버가 들어서고, 수성구 두산동에 3천여평 규모의 홈플러스가 문을 열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앞으로도 대형마트 점포수와 매출액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김 의원은 “대구처럼 도심지에 대형마트들이 밀집하는 현상은 전세계에서 유례가 드물다”며 “대형마트가 더 이상 대구시내에 들어서지 못하도록 할 방법이 없느냐”고 물었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현행 법규상 무조건 대형마트를 막을 수는 없지만 몇가지 억제방안이 있다”며 “대구지역을 한바퀴 도는 4차 순환도로 주변에는 절대 허가하지 않고, 도심지 상업지역에 한해 엄격한 절차를 거쳐 신규허가를 내주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