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지도∼선유도∼여의도 노선
26일부터 주말·공휴일 운행 한강 서쪽의 섬들을 잇는 주말 나들이 버스가 26일부터 운행된다. 서울시는 난지도 월드컵공원과 선유도, 여의도 한강시민공원을 잇는 친환경 버스 노선을 새로 만들어 주말과 공휴일에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버스는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을 출발해 합정역, 선유도 공원 입구와 당산역을 거쳐 여의나루역을 돌아온다. 오전 10시부터 저녁 7시까지 5~7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기존 시내버스와 같은 요금을 받는다. 이 버스 도입에 따라 주말에 선유도 공원에서는 장애인 차량을 제외한 일반차량의 주차가 제한된다. 이대입구를 출발해 합정역과 당산역을 지나는 5714번 버스는 28일부터 선유도 공원 입구에서도 선다. 시 관계자는 “이 노선에는 천연가스(CNG) 버스를 우선 투입할 계획”이라며 “그동안 선유도는 대중교통 접근이 불편했으나, 앞으로는 합정역과 당산역에 내려 이 버스를 이용하면 편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시는 △북한산(구파발역~북한산성) △불암산(창동역~동막골) 등 2개의 유람버스 노선을 주말에 운행되고 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26일부터 주말·공휴일 운행 한강 서쪽의 섬들을 잇는 주말 나들이 버스가 26일부터 운행된다. 서울시는 난지도 월드컵공원과 선유도, 여의도 한강시민공원을 잇는 친환경 버스 노선을 새로 만들어 주말과 공휴일에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버스는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을 출발해 합정역, 선유도 공원 입구와 당산역을 거쳐 여의나루역을 돌아온다. 오전 10시부터 저녁 7시까지 5~7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기존 시내버스와 같은 요금을 받는다. 이 버스 도입에 따라 주말에 선유도 공원에서는 장애인 차량을 제외한 일반차량의 주차가 제한된다. 이대입구를 출발해 합정역과 당산역을 지나는 5714번 버스는 28일부터 선유도 공원 입구에서도 선다. 시 관계자는 “이 노선에는 천연가스(CNG) 버스를 우선 투입할 계획”이라며 “그동안 선유도는 대중교통 접근이 불편했으나, 앞으로는 합정역과 당산역에 내려 이 버스를 이용하면 편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시는 △북한산(구파발역~북한산성) △불암산(창동역~동막골) 등 2개의 유람버스 노선을 주말에 운행되고 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