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명동 등에 글로벌 비즈니스·문화교류 존 조성
2008년까지 서울시청과 강남구 테헤란로, 여의도 금융센터 등의 주변 15곳이 ‘글로벌 비즈니스 존’으로 조성돼 외국인들이 공공 서비스와 생활 편의시설 등을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25일 이런 내용을 뼈대로 서울을 세계화한 도시로 발돋움시키기 위한 밑그림에 해당하는 ‘서울의 글로벌화 전략 및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사업과 생활, 문화교류 등 3가지를 큰 틀로 삼고 있다. 시는 외국인투자기업들이 몰려 있는 ‘글로벌 비즈니스 존’에는 경제자유구역 이상의 사업 환경을 조성한다는 목표로 이를 추진할 ‘서울글로벌센터’를 내년 상반기 중 설치하기로 했다. 센터는 출입국 관련 업무를 비롯해 혼인증명이나 운전면허와 같은 일상적인 부분까지 ‘원스톱 행정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자치구, 유관기관, 민간단체 등과도 네트워크를 구축해 외국인들의 각종 생활편의를 지원할 계획이다.
‘글로벌 비즈니스 존’이 사업 분야에 중점을 둔 계획이라면, ‘글로벌 빌리지’는 주거 및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용산구 한남동과 이촌1동, 이태원1동을 비롯해 서초구 반포4동의 서래마을, 강남구 역삼1동 등 외국인들이 밀집해 살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이 지역에서는 내국인 보육시설에 외국어가 되는 보육교사를 채용해 외국인 어린이반을 운영하는 한편 내과, 치과, 소아과 등 일상적인 진료과목에 대해 외국인 지료가 가능한 병원을 지정해 운영한다. 또 상·하수도·가스·전기 요금 등 생활고지서와 주요 행정서식도 외국어를 병기해 외국인들의 생활편의를 도울 계획이다.
명동과 남대문시장, 동대문시장, 인사동, 이태원 등 5곳은 ‘글로벌 문화교류존’으로 지정된다.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이 지역들은 이미 관광특구 혹은 문화지구로 지정돼 있다는 점을 활용해 각종 간판과 도로표지 등의 외국어 서비스를 확대하고 문화교류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라고 시는 밝혔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