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균형발전협의체, 대구 선포식
수도권 집중화를 반대하는 1천만 서명운동이 대구경북을 시작으로 불이 붙었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균형발전협의체’(공동회장 김관용 경북도지사, 이낙연 국회의원)는 30일 오후 2시 대구시민회관에서 김범일 대구시장, 김 도지사를 비롯한 대구·경북의 자치단체장, 지방의회 의장, 엔지오 대표 등 35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수도권 집중화 반대 시·도 합동 서명운동 선포식’을 열었다. 13개 광역 시도단체 가운데 서명운동 선포식을 한 것은 대구경북이 처음이다.
이날 지역균형발전협의체 공동회장인 김 도지사는 “수도권이 국토면적의 11%에 불과하지만 인구의 절반과 경제·사회·문화 등 주요 기능의 80%가 집중돼 비수도권의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라며 “정부와 정치권이 지방을 홀대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도 “수도권 규제 완화는 수도권의 공룡화와 지방의 공동화로 공생 아닌 공멸을 자초할 것”이라며 “비수도권 전체가 뭉쳐 선 지방 육성, 후 수도권 계획 관리의 원칙과 지방분권,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지속 추진 등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말했다.
비수도권 13개 시도로 구성된 지역균형발전협의체와 지역균형발전지방의회협의회, 그리고 수도권 과밀화를 반대하는 시민단체 모임인 수도권과밀반대전국연대는 대구·경북 선포식을 시작으로 오는 9월 말까지 전국에서 서명운동을 전개해 정부의 수도권 규제 완화 조치에 항의할 방침이다. 협의체는 비수도권 인구 2528만여명의 39.5%인 1000만명을 시도별 인구 비례에 따라 할당해 서명을 받기로 해, 대구·경북의 서명 목표 인원은 대구시가 98만여명, 경북도는 106만여명이다.
협의체 관계자는 “정부가 출범 초기 선 지방 육성, 후 수도권의 계획적 관리라는 균형발전정책을 결정해 놓고도 계속해서 수도권 규제 완화 정책을 내놓고 있다”며 “올 연말 대선을 앞두고 수도권 집중화 반대와 균형 발전을 전국적인 이슈로 만들기 위해 분위기 확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대구에서 선포식을 마친 참석자들은 대구시민회관에서 동성로 상가를 거쳐 2·28 기념공원까지 서명 참여를 호소하는 거리행진을 벌였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