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저녁 <화려한 휴가>가 상영된 대구의 한 극장, 평일인데도 맨 앞줄을 제외하곤 관객들이 가득 들어차 있다.
관객 “학교서 안 배워 충격” “이 정도까지였나”
평일 저녁도 매진…노부부서 중학생까지 다양
평일 저녁도 매진…노부부서 중학생까지 다양
부산과 대구에도 영화 <화려한 외출>의 바람이 거세다. 31일 밤 5·18 광주민중항쟁을 다룬 영화 <화려한 휴가>가 상영된 롯데시네마 대구점에선 주인공 민우(김상경 분)가 “우리는 폭도가 아니다”라고 절규하며 진압군의 무차별 총격에 쓰러지는 끝 장면에 극장 안은 무거운 침묵이 흘렀다. 뒤이어 종영을 알리는 불이 들어왔으나 일부 관객들은 영화의 여운을 되새기는 듯 자막이 다 올라갈 때까지 자리를 지켰다. 영화계를 강타하고 있는 <화려한 휴가> 바람은 ‘영화의 고향’인 부산은 물론 ‘보수의 본향’이라는 대구도 흔들었다. 평일인데도 객석은 27년 전 광주의 모습을 보러 온 관객들로 꽉 차 있었다. 영화가 상영되는 동안 관객들은 웃다가 울고, 울다가 웃었다. 백발이 성성한 한 노부부는 잠시도 등받이에 기대지 않고 영화를 지켜봤다. 팝콘을 사 들고 온 젊은 관객들은 계엄군이 잔혹하게 시민들을 진압하는 장면에서 주전부리를 손에 꼭 쥐었다. 영화가 끝 장면으로 치달을수록 눈물을 훔치거나 콧물을 훌쩍이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났다. 자녀들과 함께 온 한 중년의 중학교 교사는 “시위에 나선 학생들의 눈 밑에 치약을 발라주던 선생님이 기억에 남는다”며 “당시 나라면 어떻게 했을까 고민스러웠다”고 말했다. 곁에 있던 중학생 딸은 “학교에서 이런 역사를 거의 배운 적이 없어 충격이었다”며 “너무 무서웠고, 일어나”서는 안될 일이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가족과 함께 온 이명수(50)씨는 “당시 대구에는 이런 내용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이 정도까지인 줄은 몰랐다”며 “영화 내용이 다 사실이라면 우리도 그렇게(광주사람들처럼) 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권성호(20·대구가톨릭대 1)씨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축구할 때는 뭉쳤다가 대통령 선거 때는 흩어진다”며 “이 영화를 보고 영남과 호남으로 나뉜 우리나라의 현실이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게 꿈이었으면 좋겠어”라는 여자 주인공 신애(이요원 분)의 대사처럼 “아무리 생각해도 이런 일이 있었다는 것을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는 관객들도 있었다. <화려한 휴가> 바람은 대구의 다른 영화관도 마찬가지다. 메가박스 대구점 이성아 바이저는 “2개관에서 상영 중인데 주말 좌석 점유율이 토, 일요일은 각각 50%와 74%로 오후 3시 이후는 매진이며, 평일에도 저녁시간은 매진이어서 <스파이더맨 3>, <트랜스포머> 등 흥행에 성공한 할리우드 영화에 뒤지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1일 오후 3시15분 부산 롯데시네마를 찾은 주부 장인주(44)씨는 “딸이 추천해 확실하게 잘 모르던 5·18을 알고 싶어 친구들과 함께 왔다”고 말했으며, 함께 온 김미경(43)씨도 “주변에서 역사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재미가 있다고 하더라”고 밝혔다. 제자와 함께 온 국사교사 김병관(29·김해 경원고)씨는 “나는 이미 봤지만 역사적인 사건을 다룬 이 영화를 제자들이 꼭 봤으면 해서 함께 왔다”고 말했다. 씨제이엔터테인먼트 이상무 홍보팀장은 “내용은 특정 지역의 역사를 다뤘지만 감동은 전국과 세대를 아우르고 있어, 다른 흥행작과 비교할 때 지역적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고 밝혔다. 글·사진 박영률 기자, 서은진·배수림 인턴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