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삐선’에 묶이고…두개골·골반엔 총상
손을 묶은 군용전화선, 분홍빛 단추, 밑창만 남은 신발, 그리고 끝없이 늘어선 유골들, 캄캄한 폐광 속에 묻혀있던 유해들이 57년만에 햇빛 속으로 나왔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는 20일 경북 경산시 코발트 광산 제1수평굴 앞에서 지난 7월부터 2개월 동안 진행된 유해발굴 결과에 대해 현장설명회를 실시하고 새롭게 발굴된 유해 160 여구를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진실화해위원회 송기인 위원장과 이태준 코발트광산 유족회장 등 7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에 발굴된 160 여구는 우물처럼 파인 수직갱도에 던져진 뒤 흙을 덮어 매장된 유해가 압력에 밀려 연결된 수평갱도의 약한 한쪽 부분으로 쏟아져 나온 것으로 추정되며, 토사와 함께 묻혀 있었다고 발굴팀은 전했다.
발굴을 진행한 경남대 이상길 교수(사학과)는 “수직갱도를 지하 11m지점까지 손으로 파내려 갔지만 안전문제 등으로 더 진행하지 못했다”며 “앞으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일부 유해들은 두개골과 골반 등에 총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고 금을 씌운 치아나 손톱 등도 함께 발굴됐다. 또 학살의 증거로 보이는 총알 5점과 엠1 탄피 18점, 칼빈 탄피 22점을 비롯해 희생자의 손목을 묶은 것으로 보이는 군용전화선 등도 나왔다. 발굴된 단추 등의 형태로 보아 민간인, 특히 여성의 것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발굴단은 추정했다.
경산코발트광산사건은 한국전쟁 당시 대구·경북 지역 국민보도연맹원과 재소자 등 민간인 수천명이 코발트 광산 지하갱도와 인근 대원골에서 국군에 의해 집단 학살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건이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지난 7월 8일 개토제를 시작으로 공식 발굴작업을 시작했으며, 수직갱도 아랫부분에 유해가 집중된 걸로 추정하고 내년 초부터 2차 발굴을 할 계획이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