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찬반투표…학생·교수 등 긍정적
24일로 예정된 경북대와 상주대 통합 찬반투표 결과에 지역민들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 통합 이번엔 될까=성사 가능성은 어느때보다 높다. 지난해 성사 직전까지 갔으나 김종호 당시 상주대 총장이 서명을 거부해 끝내 무산됐다. 하지만 신임 추태귀 총장은 통합을 공약으로 내걸고 당선됐다. 추 총장은 지난달 7일 경북대를 방문해 먼저 통합을 제의했다.
지난해 반대했던 두 대학 총학생회도 올해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2005년 당시 상주대 학생들의 주된 요구조건이던 통합 경북대 졸업장 수여도 조건부로 받아들여졌다. 통합에 따른 정원 변동과 신분상 변화가 없는 교수들 사이에서도 찬성이 우세한 분위기다.
하지만 상주대 총동창회와 기성회, 지역 사회단체들이 꾸린 ’상주대발전범시민추진위’가 반대운동을 본격화하고 있는 것이 유일한 변수다.
범추위 김희철 사무국장은 “단과대가 중복돼 구조조정으로 캠퍼스만 내주게 될 가능성이 크다”며 “현재의 통합안으로 통합이 이뤄지면 법적 대응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다해 반대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 통합 왜 하나=현재 부산대와 밀양대, 전남대와 여수대, 강원대와 삼척대를 비롯 12개 국립대가 통합을 마쳤다. 전북대와 익산대는 가인가를 받았으며, 제주대와 제주교대는 이미 신청을 해놓은 상태다. 대구·경북만 유일하게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경북대는 지난해 통합 실패로 너무 많은 것을 잃었다고 보고 있다. 국립대 통합은 구조조정 점수 항목에 포함돼 갖가지 사업의 평가 기준이 되는데 이 점수 모자라 비케이21 사업 수주율, 한의대 유치, 국고 지원 배정 등에서 큰 불이익을 봤다는 분석이다.
특히 앞으로 학교의 사활이 걸린 로스쿨과 대형 국책사업 유치를 위해 통합을 반드시 이뤄내야 한다는 절박감을 느끼고 있다. 이밖에 통합재정지원 3년간 300억원, 교수 정원 약 30명 증가, 캠퍼스 면적 70%(현재 78만2천여㎡에서 132만1천여㎡)확장 등의 단기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상주대 쪽도 학령인구가 급격히 줄어드는 가운데 통합이 안되면 장기적으로 대학 존립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는 위기감이 가득하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