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 2012년 공공기관 이전 11곳 임직원 설문
72% “본인만 옮길 것” …자년교육·생활불편 이유
72% “본인만 옮길 것” …자년교육·생활불편 이유
한국석유공사 근로복지공단 등 수도권 공공기관 11곳이 2012년 울산으로 옮겨오면 인구가 얼마나 늘까?
울산대 산학협력단이 조사한 결과를 보면 4100여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대 산학협력단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조사해 울산발전연구원에 제출한 ‘공공기관 이전 관련 인적 자본 개발(HRD) 영향 평가연구’ 용역 보고서에서 혁신도시로 인해 유발되는 인구 규모를 2만1352명으로 예측했다. 울산으로 이전할 수도권 11곳의 임직원 2529명과 이들의 부양가족수(평균 2.17명)에다 혁신도시가 들어서면 새로 창출되는 서비스산업 등에 종사하는 이들을 더한 것이다.
하지만 산학협력단은 혁신도시가 들어서면 새로 창출되는 서비스산업 등에 취업하는 종업원은 울산에 거주하는 시민일 가능성이 높아 이들을 실제 유입인구로 보기 힘들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에 거주하면서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종사자 및 부양가족을 기준으로 했을 때 혁신도시로 유입될 인구는 8017명으로 추정됐다.
여기에 산학협력단이 울산으로 이전할 공공기관 11곳의 임직원 2529명 가운데 533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를 고려하면 울산으로 내려오는 실질 인구는 4132명으로 줄어든다.
설문조사 결과 소속기관의 울산 이전 이후 거취 계획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 478명의 86.6%(414명)가 ‘울산으로 이주하겠다’고 했으나, 이주인원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 465명의 71.8%(334명)가 ‘본인만 이주하겠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 1명당 평균 0.5명의 부양가족만 데리고 내려온다는 얘기다.
울산시의회 박이현숙 의원은 “수도권 공공기관 직원들이 울산으로 나홀로 이사를 오겠다고 해 자칫 무늬만 혁신도시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며 “가족과 함께 내려올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