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군 주민들 “예정지역·보상가 먼저”
15∼16일께 총회 열어 수용여부 결정 18일부터 시행하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예정지 주민의견 조사에 대해 주민들이 거부 움직임을 밝혀 파행이 우려된다. 충남 연기군 남면 및 금남면 주민들은 12일 “행정기관의 일방적인 사전 조사에 반대한다”며 “예정지역과 보상가에 대한 최종 결정이 먼저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정부의 행정도시 건설계획은 지난 8일 공청회를 거쳤을 뿐 예정지와 주변지역이 확정되지 않았다”며 “정부와 충남도는 사전 조사에 앞서 보상 기준부터 밝히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정부가 예정지 주변지역의 투기 행위를 제대로 단속하지 못해 땅 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았는데 예정지 보상은 ‘공시지가 + 알파’ 수준에 그쳐 형평에 맞지 않고, 원주민들이 농지 전용 등을 하지 않고 지은 미등기 건물과 축사에 대한 폐업 보상 등에 대해서도 먼저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민들은 오는 15~16일께 총회를 열어 조사에 응할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남면 양화리 임백수(48) 이장은 “예정지역을 수용하면서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한 토지보상법에 따라 보상한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며 “충남도는 ‘주민을 위한 사전 조사’차원 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반길 주민이 없다”고 말했다. 금남면 대평리 한 주민은 “예정지역도 보상가격도 정해지지 않았는데 사전 조사를 한다는 건 차례가 뒤바뀐 것으로 먼저 주민이 납득할 수 있는 보상 기준부터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충남도 신행정수도건설추진지원단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보상 대상자들에 대한 기초 자료와 주민이 원하는 보상방식 등에 대한 의견을 모으기 위한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조사에 앞서 마을 단위로 조사 내용에 대한 설명회를 열어 협조를 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도는 도와 시·군 공무원으로 합동조사반을 꾸려 오는 18일부터 10일 동안 행정도시 예정지인 연기군과 공주시 4개면 25개리 3988가구를 직접 방문해 주민 및 개별기업의 맞춤식 보상을 위한 희망사항을 조사한다고 11일 밝혔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15∼16일께 총회 열어 수용여부 결정 18일부터 시행하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예정지 주민의견 조사에 대해 주민들이 거부 움직임을 밝혀 파행이 우려된다. 충남 연기군 남면 및 금남면 주민들은 12일 “행정기관의 일방적인 사전 조사에 반대한다”며 “예정지역과 보상가에 대한 최종 결정이 먼저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정부의 행정도시 건설계획은 지난 8일 공청회를 거쳤을 뿐 예정지와 주변지역이 확정되지 않았다”며 “정부와 충남도는 사전 조사에 앞서 보상 기준부터 밝히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정부가 예정지 주변지역의 투기 행위를 제대로 단속하지 못해 땅 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았는데 예정지 보상은 ‘공시지가 + 알파’ 수준에 그쳐 형평에 맞지 않고, 원주민들이 농지 전용 등을 하지 않고 지은 미등기 건물과 축사에 대한 폐업 보상 등에 대해서도 먼저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민들은 오는 15~16일께 총회를 열어 조사에 응할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남면 양화리 임백수(48) 이장은 “예정지역을 수용하면서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한 토지보상법에 따라 보상한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며 “충남도는 ‘주민을 위한 사전 조사’차원 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반길 주민이 없다”고 말했다. 금남면 대평리 한 주민은 “예정지역도 보상가격도 정해지지 않았는데 사전 조사를 한다는 건 차례가 뒤바뀐 것으로 먼저 주민이 납득할 수 있는 보상 기준부터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충남도 신행정수도건설추진지원단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보상 대상자들에 대한 기초 자료와 주민이 원하는 보상방식 등에 대한 의견을 모으기 위한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조사에 앞서 마을 단위로 조사 내용에 대한 설명회를 열어 협조를 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도는 도와 시·군 공무원으로 합동조사반을 꾸려 오는 18일부터 10일 동안 행정도시 예정지인 연기군과 공주시 4개면 25개리 3988가구를 직접 방문해 주민 및 개별기업의 맞춤식 보상을 위한 희망사항을 조사한다고 11일 밝혔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