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압의 없는 핵폐기장 막겠다”
지자체간 유치경쟁 지역갈등 혼란 불씨
핵 반대·핵폐기장 반대 동해안 대책위원회 사무처장으로 박창호(39·사진) 포항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장이 선출됐다. 박 처장은 26일 “6개지역 단체들이 힘을 합쳐 국민적 합의가 없는 원전 정책과 동해안 핵폐기장 터 선정을 막겠다”고 밝혔다.
-대책위 결성 경과와 이유는.
=지난달 14일 경주에서 열린 반핵 국민운동 전국 간담회에서 지역 단체들의 연대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 지역에 핵폐기장이 들어서면 인접지역에도 피해가 가고, 또 한 지역만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으므로 동해안은 동해안, 서해안은 서해안대로 공동대책위를 꾸려야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핵폐기장 건설과 관련된 정부정책의 문제점은.
=2년전 우리는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추진에 맞선 부안군민들의 투쟁을 보았다. 정부는 부안사태 내내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이 부르짖었던 ‘사회적 합의를 통한 해결의 원칙’은 지키지 않고 있다. 오히려 국회통과 당시부터 논란이 많았던 ‘원전센터 유치지역 지원 특별법’을 무기삼아 지방자치단체간 경쟁을 부추겨 지역갈등을 조장하고 새로운 혼란을 만드는 길로 가고 있다. 바로 이 부분에 제동을 걸겠다.
-하지만 중·저준위 폐기물이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파격적인 지원이 지역발전을 앞당길 것이란 기대도 많은데.
=중앙정부와 사업자 쪽이 해당지역을 돌아다니며 3000억원+α니 뭐니 하는 가능성을 유포하면서 유치활동을 벌이고 있다. 2008년까지 중저준위 핵폐기장을 해결하고 2016년까지 고준위 핵폐기물 대책을 마련한다는 것이 정부의 정책이다. 결국 중저준위 핵폐기물이 들어온 지역에 고준위 핵폐기물도 들어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지방자치단체도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노력은 필요하지만 일시적인 경제지원 등에 현혹돼 지역을 망쳐선 안된다. -앞으로 계획은. =포항대책위에 20개 단체가 가입하는 등 지역별 대책위도 속속 진영을 갖춰가고 있다. 울산과 강원도 삼척에서도 반핵 운동이 고조되고 있다. 5월 한달 동안 충분한 준비를 거친 뒤 정부가 터 적합성 조사를 끝내고 유치신청을 받기 시작하는 6월께 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하게 될 것이다. 포항/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울산·포항 등 6개 시군단체 핵폐기장 동해안대책위 결성 동해안 지역의 핵폐기장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울산시와 포항·경주·삼척·울진·영덕군 등 6개 시·군 지역 시민사회·주민단체가 26일 핵반대·핵폐기장 반대 동해안 대책위원회(가칭)를 결성했다. 이들 단체는 이날 오후 2시 포항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핵폐기장 터 선정의 부당성을 규탄하고 함께 힘을 모아 핵폐기장 유치를 막기 위해 싸워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2003년 부안 핵폐기장 건설계획은 백지화 됐지만 잘못된 정책 추진은 전 군민들을 고통속으로 몰아넣었다”며 “제2, 제3의 부안사태를 보고 싶지 않으면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동해안 핵폐기장 건설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에 앞서 열린 회의에서 6개지역 대표들을 공동대표로 선출하고, 사무처를 포항지역에 두기로 결정했다. 또 정부의 터 적합성 조사가 끝나는 6월까지 수시로 회의를 열어 공동대응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포항/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중앙정부와 사업자 쪽이 해당지역을 돌아다니며 3000억원+α니 뭐니 하는 가능성을 유포하면서 유치활동을 벌이고 있다. 2008년까지 중저준위 핵폐기장을 해결하고 2016년까지 고준위 핵폐기물 대책을 마련한다는 것이 정부의 정책이다. 결국 중저준위 핵폐기물이 들어온 지역에 고준위 핵폐기물도 들어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지방자치단체도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노력은 필요하지만 일시적인 경제지원 등에 현혹돼 지역을 망쳐선 안된다. -앞으로 계획은. =포항대책위에 20개 단체가 가입하는 등 지역별 대책위도 속속 진영을 갖춰가고 있다. 울산과 강원도 삼척에서도 반핵 운동이 고조되고 있다. 5월 한달 동안 충분한 준비를 거친 뒤 정부가 터 적합성 조사를 끝내고 유치신청을 받기 시작하는 6월께 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하게 될 것이다. 포항/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울산·포항 등 6개 시군단체 핵폐기장 동해안대책위 결성 동해안 지역의 핵폐기장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울산시와 포항·경주·삼척·울진·영덕군 등 6개 시·군 지역 시민사회·주민단체가 26일 핵반대·핵폐기장 반대 동해안 대책위원회(가칭)를 결성했다. 이들 단체는 이날 오후 2시 포항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핵폐기장 터 선정의 부당성을 규탄하고 함께 힘을 모아 핵폐기장 유치를 막기 위해 싸워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2003년 부안 핵폐기장 건설계획은 백지화 됐지만 잘못된 정책 추진은 전 군민들을 고통속으로 몰아넣었다”며 “제2, 제3의 부안사태를 보고 싶지 않으면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동해안 핵폐기장 건설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에 앞서 열린 회의에서 6개지역 대표들을 공동대표로 선출하고, 사무처를 포항지역에 두기로 결정했다. 또 정부의 터 적합성 조사가 끝나는 6월까지 수시로 회의를 열어 공동대응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포항/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