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람선 띄우고 테마파크 만들고…
“4대강 사업에 반영을” 국토부에 건의
시민단체 “묵은 기획들, 선거용 의심” 경북도가 정부의 물길 살리기와 연계해 낙동강 연안 개발 분위기를 띄우고 나섰다. 경북도는 낙동강 유역 10개 시·군 283㎞를 역사문화관광지로 개발키로 하고 이를 국토해양부의 4대강 물길 살리기 기본계획과 문화체육관광부의 4대강 유역 문화·관광발전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건의했다고 29일 밝혔다. 경북도의 계획을 보면 고령에는 대가야 유람선을 건조해 낙동강 고령군 고령읍 본관리 회천에서 부산까지 운행하는 낙동강 물길탐방 유람선을 띄워 일본 후쿠오카 이즈모시로 이어지는 대가야 옛 뱃길을 재현한다. 이를 위해 회천 지역의 수심을 깊게 하는 준설사업을 펼치고, 대가야 고대촌 건설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안동에는 엘리자베스 영국 여왕이 다녀갔던 하회마을에서 봉정사까지의 길 주변을 유교 문화유산 90여 점을 활용한 퀸 로드(18㎞)로 조성한다. 봉화에는 춘향전 이몽룡의 실제 인물로 알려진 성이성(1595∼1664)의 유적을 중심으로 이몽룡 테마파크와 충효 테마파크를 건설한다. 또 문경에는 한류문화 영상테마 클러스트를 조성하고, 상주에는 경상감영 테마파크, 의성에는 원삼국시대에 번창했던 읍성국가 조문국 문화권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밖에 구미에는 해평 금호리 연지 생태공원, 칠곡에는 산성체험촌, 성주에는 동락골 생태공원과 성주호 모험-레포츠 타운을 각각 건설할 방침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최근 물길 정비사업이 추진되면서 대운하 논의와 함께 유보됐던 낙동강프로젝트 사업을 다시 꺼내 분위기도 조성하고 정부 예산 확보 길도 트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그동안 대운하를 반대해왔던 시민·환경 단체 쪽에서는 회의적인 시각이다. 강호철 운하백지화 국민행동 경북본부 공동대표는 “재원과 현실성을 면밀히 따져보지 않고 묵은 기획을 한데 묶거나 몇몇 사람의 설익은 구상을 발표해 분위기나 띄우는 행태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오해받을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공정옥 사무처장도 “지자체마다 경쟁하듯 유치한 사극 세트장이 반짝 흥행 뒤 찾는 이가 없어 유지비를 먹는 흉물로 전락하는 실태가 보도된 바 있다”며 “개발·시설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반론을 폈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시민단체 “묵은 기획들, 선거용 의심” 경북도가 정부의 물길 살리기와 연계해 낙동강 연안 개발 분위기를 띄우고 나섰다. 경북도는 낙동강 유역 10개 시·군 283㎞를 역사문화관광지로 개발키로 하고 이를 국토해양부의 4대강 물길 살리기 기본계획과 문화체육관광부의 4대강 유역 문화·관광발전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건의했다고 29일 밝혔다. 경북도의 계획을 보면 고령에는 대가야 유람선을 건조해 낙동강 고령군 고령읍 본관리 회천에서 부산까지 운행하는 낙동강 물길탐방 유람선을 띄워 일본 후쿠오카 이즈모시로 이어지는 대가야 옛 뱃길을 재현한다. 이를 위해 회천 지역의 수심을 깊게 하는 준설사업을 펼치고, 대가야 고대촌 건설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안동에는 엘리자베스 영국 여왕이 다녀갔던 하회마을에서 봉정사까지의 길 주변을 유교 문화유산 90여 점을 활용한 퀸 로드(18㎞)로 조성한다. 봉화에는 춘향전 이몽룡의 실제 인물로 알려진 성이성(1595∼1664)의 유적을 중심으로 이몽룡 테마파크와 충효 테마파크를 건설한다. 또 문경에는 한류문화 영상테마 클러스트를 조성하고, 상주에는 경상감영 테마파크, 의성에는 원삼국시대에 번창했던 읍성국가 조문국 문화권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밖에 구미에는 해평 금호리 연지 생태공원, 칠곡에는 산성체험촌, 성주에는 동락골 생태공원과 성주호 모험-레포츠 타운을 각각 건설할 방침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최근 물길 정비사업이 추진되면서 대운하 논의와 함께 유보됐던 낙동강프로젝트 사업을 다시 꺼내 분위기도 조성하고 정부 예산 확보 길도 트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그동안 대운하를 반대해왔던 시민·환경 단체 쪽에서는 회의적인 시각이다. 강호철 운하백지화 국민행동 경북본부 공동대표는 “재원과 현실성을 면밀히 따져보지 않고 묵은 기획을 한데 묶거나 몇몇 사람의 설익은 구상을 발표해 분위기나 띄우는 행태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오해받을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 공정옥 사무처장도 “지자체마다 경쟁하듯 유치한 사극 세트장이 반짝 흥행 뒤 찾는 이가 없어 유지비를 먹는 흉물로 전락하는 실태가 보도된 바 있다”며 “개발·시설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반론을 폈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