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티 “결정방식 문제” 반발
전북도가 청사를 옮기면서 효율성과 용량확대 등을 위해 추진한 5대 정보통신망구축 사업에 케이티(KT)가 탈락하자 크게 반발하고 있다.
전북도는 올해 2~6월 도와 시·군간 5대 통신망사업(정보·단일·영상·경보·소방망)을 비용 40억7800만원으로 7월부터 2008년 말까지(3년6개월) 계약기간을 정해 추진한 가운데, 평가위원회에서 최종사업자로 데이콤을 결정했다고 12일 밝혔다.
도는 “지난 3월 제안요청서 설명회에서 통신망사업자가 사업비에 맞게 제안서를 내도록 요청했으며, 그 뒤 케이티가 82억원, 데이콤이 60억원을 제안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탈락한 케이티는 납득하기 어려운 사업자 결정방식 등을 내세우며 반발했다. 케이티는 “정부승인 약관요금을 적용하면 80억원에 이르는 대형사업인데도, 정상가의 절반에 해당하는 40억여원을 입찰예정가로 공고한 후 저가입찰자인 데이콤을 우선협상대상자로 결정했다”며 “이로 인해 케이티 전북본부가 존폐위기에 놓일 처지”라고 주장했다.
전북도는 “조달청에 질의하는 등 법적 기준에 맞게 처리했다”며 “경쟁자인 케이티와 데이콤은 기술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가격부문에서 우위를 보인 1순위(데이콤)와 사업비안에서 협상이 성립(60억원→40억2200만원)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케이티와 데이콤은 전북도의 5대 정보통신망을 거의 5 대 5의 비율로 분점해왔으나, 통합구축망이 가동하면 해당사업자 한쪽만 시설을 공급하게 된다.
전주/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