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정지 ‘화원’ 주민들 반대
2년전 대구지하철 참사때 숨진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달성군 화원읍에 들어설 예정인 추모시설 건립이 또 벽에 부닥쳤다.
대구시는 지난 1월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와 구라리 터 27만여평에 건설될 예정인 방재테마 공원안에 추모시설을 짓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당시 조기현 대구시 행정부시장과 지하철참사 희생자 대책위의 합의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사업비 270억원을 들여 올해 연말쯤 추모시설을 짓기 시작해 2006년 말 공사를 끝낼 계획을 세웠다.
이 추모시설안에는 추모관과 위령탑, 전시관 등이 들어서고 희생자들의 유골도 묘역이 아닌 예술작품의 형태로 안치할 계획이다.
그러나 추모시설이 들어서는 달성군 화원읍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달성군 화원읍 이장과 상인 대표, 주민 등 10여명은 지난 10일 오후 2시 화원읍 사무소에서 모임을 열어 대구시와 소방본부가 추진중인 추모시설 사업을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했다.
이들은 반대 이유로 추모관에 희생자 유골이 들어오고, 추모관 위치가 화원유원지 들머리 쪽으로 변경된 점 등을 꼽았다.
주민들은 이 자리에서 “지하철 참사가 대구시내에서 발생했는데 왜 화원에 추모관을 지어야 하느냐”고 대구시를 비난했다. 또 “추모관이 들어서면 화원유원지 상인들이 피해를 입는다”며 “화원에 절대 추모관을 지어서는 안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달성군의회 표명찬(61) 의장은 “오는 20일쯤 열리는 군의회 임시회의에서 반대 결의문을 채택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지하철 참사 희생자 추모시설은 참사 직후 대구시내 도심지 수창공원 자리에 들어설 계획이었지만, 주민반대로 포기했다. 또 수성구 삼덕동 천주교 공동묘지 부근에 들어설 예정이었지만 이곳 주민들의 반대와 도시계획위원회에서 통과되지 못해 계획이 백지화됐다. 대구/구대선 기자
“화원 발전에 촉매될 것” 참사 대책위 윤석기 위원장 대구시 달성군 화원읍 주민들이 지하철참사 추모시설 건립을 반대한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대구지하철참사 희생자 대책위 윤석기(40·사진) 위원장은 12일 “추모시설은 절대 혐오시설이 아니라”며 “현지 주민들이 이성적으로 생각해달라”고 당부했다. -지역주민들이 혐오시설이라며 반대하고 나섰는데.. =절대 혐오시설이 아니다. 묘역도 없고 납골당도 들어서지 않는다. 정서적으로 꺼리는 이유를 알 수 없다. 방재테마 공원이나 추모시설이 오히려 낙후된 화원을 발전시킬 것으로 믿는다. -묘억이나 납골당이 아니면 어떤 방법으로 유골을 안치할 생각인가. =사업자가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윤곽이 드러난다. 현재로서는 추모관 건물에 유품을 전시하고, 그 부근에 벽화, 조각 또는 다른 예술작품들을 만들고, 그 구성요소 가운데 유골이 안치된다고 들었다. -지하철참사 추모관이 꼭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가? =대형참사가 다시는 되풀이 되지 않도록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시민들이나 학생들이 추모관을 찾아 반성하고 교훈으로 삼는 장소가 됐으면 한다. -지역 주민들은 지하철참사가 대구 도심지에서 발생했는데 왜 아무 상관도 없는 화원에 추모관을 세워야 하느냐고 주장한다. =그런 말을 들으면 피를 토하고 싶은 마음뿐이다. 도심지 수창공원에서도 쫓겨나고, 수성구 삼덕동에서도 주민반대로 포기했다. 화원마저 안된다면 어디로 가야하는가 되묻고 싶다. -화원읍 주민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지금은 혐오시설이라며 주민들이 반대하지만 후손들은 절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대구가 소방과 방재, 안전의 도시로 부각되는데 추모관이 큰 축이 되리라 믿는다. 원폭이 떨어진 일본 히로시마나 9·11 테러 현장인 미국 뉴욕에서도 평화공원이 조성돼 있다고 들었다. 대구/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달성군의회 표명찬(61) 의장은 “오는 20일쯤 열리는 군의회 임시회의에서 반대 결의문을 채택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지하철 참사 희생자 추모시설은 참사 직후 대구시내 도심지 수창공원 자리에 들어설 계획이었지만, 주민반대로 포기했다. 또 수성구 삼덕동 천주교 공동묘지 부근에 들어설 예정이었지만 이곳 주민들의 반대와 도시계획위원회에서 통과되지 못해 계획이 백지화됐다. 대구/구대선 기자
“화원 발전에 촉매될 것” 참사 대책위 윤석기 위원장 대구시 달성군 화원읍 주민들이 지하철참사 추모시설 건립을 반대한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대구지하철참사 희생자 대책위 윤석기(40·사진) 위원장은 12일 “추모시설은 절대 혐오시설이 아니라”며 “현지 주민들이 이성적으로 생각해달라”고 당부했다. -지역주민들이 혐오시설이라며 반대하고 나섰는데.. =절대 혐오시설이 아니다. 묘역도 없고 납골당도 들어서지 않는다. 정서적으로 꺼리는 이유를 알 수 없다. 방재테마 공원이나 추모시설이 오히려 낙후된 화원을 발전시킬 것으로 믿는다. -묘억이나 납골당이 아니면 어떤 방법으로 유골을 안치할 생각인가. =사업자가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야 윤곽이 드러난다. 현재로서는 추모관 건물에 유품을 전시하고, 그 부근에 벽화, 조각 또는 다른 예술작품들을 만들고, 그 구성요소 가운데 유골이 안치된다고 들었다. -지하철참사 추모관이 꼭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가? =대형참사가 다시는 되풀이 되지 않도록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시민들이나 학생들이 추모관을 찾아 반성하고 교훈으로 삼는 장소가 됐으면 한다. -지역 주민들은 지하철참사가 대구 도심지에서 발생했는데 왜 아무 상관도 없는 화원에 추모관을 세워야 하느냐고 주장한다. =그런 말을 들으면 피를 토하고 싶은 마음뿐이다. 도심지 수창공원에서도 쫓겨나고, 수성구 삼덕동에서도 주민반대로 포기했다. 화원마저 안된다면 어디로 가야하는가 되묻고 싶다. -화원읍 주민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지금은 혐오시설이라며 주민들이 반대하지만 후손들은 절대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대구가 소방과 방재, 안전의 도시로 부각되는데 추모관이 큰 축이 되리라 믿는다. 원폭이 떨어진 일본 히로시마나 9·11 테러 현장인 미국 뉴욕에서도 평화공원이 조성돼 있다고 들었다. 대구/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