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진보신당 ‘텃밭 찾기’ 분주
예비후보자 공개 모집에 후보 단일화 논의도
예비후보자 공개 모집에 후보 단일화 논의도
선거법 위반으로 1·2심에서 의원직 상실형을 선고 받은 울산 북구 윤두환 국회의원의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민주노동당이 예비후보자 모집에 들어가면서 벌써 선거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민노당 울산시당은 14~20일 4·29 국회의원 재선거 울산 북구 예비후보자를 공개모집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예비후보자로는 김창현 울산시당 위원장과 이영희 최고위원, 김진영 전 북구의회 의장, 윤종오 시의원 등 4명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진보신당은 대법원 판결 뒤 공개모집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으나 2004년 윤 의원을 꺾고 당선된 뒤 선거법 위반으로 중도 하차했던 조승수 전 의원으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민노당과 진보신당이 진보의 텃밭인 북구를 되찾기 위해 후보 단일화에 찬성의 뜻을 밝힌 뒤 단일화 방법을 두고 물밑 논의도 활발하다. 현재 민노당은 민주노총 조합원 투표를, 진보신당은 여론조사를 선호하는 분위기다. 이는 진보신당의 유력후보인 조 전 의원과 관련이 있다. 여론조사를 하면 구청장과 국회의원을 두루 지낸 조 전 의원에게 유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노당은 당의 주류인 자주파로 지도부가 짜여진 민주노총 울산본부의 조합원 투표에 기대를 걸고 있다.
진보신당은 본선에서 한나라당 후보를 이기려면 현대자동차와 하청업체 노동자들이 많이 살고 있는 북구의 특성을 고려해 민주노총 조합원들을 후보자 선출과정에 반드시 참여시켜야 한다는 민노당의 논리를 무시할 수만은 없다. 역대 선거에서 민노당 또는 진보진영 단일후보가 한나라당 후보와 접전을 벌인데다, 투표율이 낮은 재선거에선 보수 성향의 후보가 유리한 사례가 많아 노동자들을 재선거의 중심에 세워야 할 절박함이 있기 때문이다.
민노당 김진영 북구지역위원장은 “두 당의 차이를 좁히기 위해 조합원 투표와 여론조사의 결과를 각각 70~80%와 20~30%를 반영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진보신당 울산시당 노옥희 준비위원장은 “민주노총이 민노당을 배타적으로 지지하는 방침을 철회하면 조합원 투표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민노당이 예비후보자 모집에 들어가자 한나라당 울산시당은 “아직 재선거 지역구로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예비후보자를 모집하는 것은 사법부의 판단을 흐리게 하고 정치적 도의에 어긋나는 행위”라는 논평을 냈다. 민노당 울산시당은 “재선거의 원인을 제공해 고법에서까지 유죄가 인정된 마당에 주민들 앞에 사죄하고 사퇴하지는 못할 망정 끝까지 판결에 연연하는 것이 오히려 정치적 도의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되받았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