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윤 환경해양국장 “구미로 옮기면 낙동강 완전히 버려”
대구시가 추진하고 있는 상수도 취수원 이전 계획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다.
민주노총대구본부 등 10여개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이명박 정부의 공공부문 사유화·시장화 저지를 위한 대구 지역 공공연석회의’는 24일 오전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구시의 상수도 취수원 이전 계획을 반대하고 나섰다.
연석회의는 “8천억원이라는 막대한 비용이 드는 취수원 이전사업은 깨끗한 물을 먹기 위한 근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상류의 물을 관을 통해 가져오면 하류의 물 부족 문제가 발생하고, 강의 오염원 관리에 대한 도덕적 해이로 생태환경이 회복 불능 상태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오염원 배출업체에 대한 단속과 방류수 수질 기준 강화, 오폐수 처리시설 확충, 저류지 및 유수지 확대 등 친환경대책을 통해 해결해야 하며, 정치적 이해관계나 경제 살리기 명목의 토목공사로 졸속 강행되는 것을 반대한다”고 덧붙였다.
경북도의회도 이날 열린 임시회에서 정경구 도의원(안동)이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대구시가 1천만 낙동강 유역 주민들이 겪을 혼란을 고려하지 않고 이기적인 결정을 내렸다가 반발에 부닥치자 다시 김천·구미 지역 낙동강이나 건설을 계획중인 영주 송리원댐으로 취수원을 옮기는 방안을 흘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자치단체간의 골 깊은 반목과 갈등을 부채질하는 대구시 행정의 난맥상도 문제지만, 경북도도 명확한 견해 표명 없이 무대책이기는 마찬가지”라며 “대구경북협의체를 구성해 질 좋은 낙동강 수원을 항구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종합대책을 세울 것”을 촉구했다.
정의원이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자 우병윤 경북도 환경해양산림국장은 도의회 환경위원회에서“취수원을 구미 지역으로 이전할 경우 하천 수량이 부족해져, 수질이 오염되고 결국 낙동강을 완전히 버리게 될 우려가 있다”며 “수량 확보와 수질 개선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고 처음으로 반대 견해를 밝혔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