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진보연대·대구시민센터 발족 ‘대안찾기’ 분주
‘보수의 텃밭’인 대구·경북 지역에서 지난해 촛불시위 뒤 침체됐던 시민·사회 운동이 최근 새롭게 기지개를 켜고 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경북도연맹, 대구북구시민연대 등 지역 10개 사회단체는 최근 민주노총 대구본부에서 출범식을 열고 ’대구경북진보연대’를 발족했다. 대경진보연대는 현재 우리 사회의 가장 중요한 과제를 이명박 정부 반대운동으로 보고 적극 나설 방침이다. 대구·경북지역 현안에 대한 대안적 정책도 생산하고 통일운동과 온라인 활동도 계획하고 있다. 경북지역은 자체 시·군 조직도 만든다.
이대영 대경진보연대 상임집행위원장은 “한나라당의 본거지인 대구·경북 지역에서 반이명박·반신자유주의에 공감하는 모든 세력들이 새롭게 출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경진보연대는 전국연합 등의 맥을 잇는 전통적 진보 그룹이 주축이다.
또 성상희 변호사, 문창식 간디문화센터 대표 등 시민운동가 출신을 중심으로 지난달 출범한 대구시민센터는 새로운 시민운동을 모색하고 있다. 대구시민센터는 시민단체 공익활동 건물 마련을 위한 모금 운동인 희망 벽돌 쌓기, 숨어 있는 단체를 찾아 시민과 연결해 주는 ‘공익아 어디 있니’ 프로젝트 등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시민단체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회계·경영·국제 교류 등 교육 사업도 5월부터 진행한다. 대구시민센터 윤종화 사무처장은 “좀더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는 시민운동을 위해 열린 생각으로 부지런히 답을 찾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대구참여연대도 5월부터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대중지성 강좌인 시민학교 문을 연다.
보수·진보의 차이를 넘어 지역 현실에 문제의식을 가진 이들이 한데 모여 현안을 얘기해 보자는 움직임도 한켠에서 일어나고 있다. 대구경북 민주화교수협의회 등이 중심이 돼 정기 시국토론회 준비모임(가칭)을 꾸리고 토론 주제를 논의중이다. 토론회를 준비중인 한 인사는 “민주주의 후퇴를 막고 시민사회를 복원할 수 있는 방안을 활발히 토론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대구/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