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개장 목표…“부유층 전유물 될 것” 비판도
이르면 내년 4월께 서울 여의도 부근에서 요트를 탈 수 있다. 이 곳에 요트 대는 곳(마리나)이 만들어진다.
서울시는 다음달까지 여의도 부근에 요트장을 만들고 운영할 민간사업자를 공모한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사업제안서를 다음달까지 제출받고 7월 민간사업자를 선정한 뒤 내년 4월 개장을 목표로 공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여의도의 운영 상황을 지켜본 뒤 마포구 난지, 강서구 마곡, 송파구 잠실 등 지구에서도 2010~2015년 사이에 요트장을 단계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여의도의 요트장은 국회 본관 뒤 한강과 샛강이 합해지는 한강 둔치에 조성된다. 수역 면적 1만4600㎡, 육상 면적 9500㎡ 규모다. 이 곳엔 90척 안팎의 요트가 머물 수 있다. 수역과 부지, 진입도로 등 기반시설은 서울시가 대고, 요트 대는 시설과 편의·휴게 시설은 민간자본으로 설치한다. 요트 대는 시설은 한강 둔치를 따라 뜬다리를 물에 띄우고, 일정 구간마다 지지대를 받쳐 배를 고정하는 형태로 세워진다. 민간사업자는 이를 20년 동안 운영한 뒤, 서울시에 기부해야 한다.
하지만 시민단체에서는 일부 부유층에게 공공의 한강을 내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염형철 서울환경연합 운영위원장은 “요트는 비용이 많이 드는 수상 레저”라며 “공공용지를 제공하고 시민의 세금을 들여 만드는 요트장이 결국에는 부유층의 전유물로 전락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염 위원장은 또 “여의도 대는 곳에서 600m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 밤섬 생태경관 보존지역이 있다”며 “요트장은 서울 도심에서 가장 많은 새들이 서식하고, 물고기들이 알을 낳는 밤섬을 망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제원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사업관리부장은 “요트장을 많은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민간사업자의 사업제안서에서 공익적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평가할 것”이라며 “대부분이 공감할 수 있는 친환경 시설로 꾸밀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