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투기업체 파업으로 수거못해
포항·경주·안동시 등 10곳도 울상
포항·경주·안동시 등 10곳도 울상
음식물쓰레기에서 나오는 폐수인 음폐수 해양투기업체들의 파업이 이어지면서 대구시와 경북도내 시 지역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이 업체들이 지난 4일부터 파업에 들어가자 일부 지역에서는 벌써 아파트 입구 등에 음식물쓰레기가 쌓여 있지만 수거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시는 8일 “남구와 동구, 서구 일부지역에서 9일부터 음식물쓰레기 수거를 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대구 지역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560t 가운데 150여t 이상을 수거하지 못하고 있으며, 10일 이후에는 이런 현상이 대구 전지역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경북 지역에서도 포항과 경주, 안동 등 10개 시에서 음식물쓰레기 수거가 어려워졌다. 경북도는 “하루 발생량 600여t 가운데 200여t은 하수처리장 등에서 처리가 가능하지만 400여t은 도저히 처리가 불가능하다”며 “9일부터는 일부 시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등지에 음식물쓰레기가 산더미처럼 쌓일 것”으로 내다봤다.
수거업체들은 지금까지 기초자치단체와 계약을 맺어 1t에 7만원씩에 수거해 사료와 퇴비 등으로 재활용을 하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폐수는 해양투기업체에 1t에 3만5천원을 받고 넘겨 왔다. 하지만 전국의 해양투기업체 19곳은 “현재 93%로 규정돼 있는 수분함 유량의 비율을 없애든지 크게 낮춰 달라”고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해양투기업체들은 “수분 함유량이 높으면 처리비용이 높아진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국토해양부는 “수분 함유 비율은 법규에 정해져 있어 낮추기가 어렵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업이 5일 동안 이어지자 수거업체들은 자체 음폐수 보관량이 한계에 이르러 9일부터는 음식물쓰레기 수거를 할 수 없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대구시 서구와 달서구, 달성군에서 하루 50여t의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해 온 제일사업 최재일 대표는 “해양투기업체들이 거부하는 바람에 음폐수를 그동안 공장안 탱크에 자체적으로 보관해 왔지만 더 이상 버틸 수 없다”며 “9일부터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수 없다”고 밝혔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