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청송군이 사실상의 공립학원인 청송인재양성원 설립을 추진하자 전교조 청송지회가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서 공교육 기반을 무너뜨린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청송군 인재육성장학회는 올해 예산 11억원을 투입해 청송인재양성원을 설립키로 하고 지난달 22일 청송인재양성원 수강생 선발계획을 공고했다. 선발 예정 인원은 중·고교 학년별 30명씩 모두 180명으로 국·영·수 시험과 학교 내신성적으로 선발한다. 선발된 학생들은 토·일요일 5시간씩 일주일에 10시간 무료로 국·영·수 강의를 받을 수 있다. 강사는 서울 종로학원과 계약을 맺어 초빙하게 된다.
청송군 관계자는 “청송군에 마땅한 입시학원이 없고 주말에는 보충수업의 기회도 없어 주민여론을 수렴해 학생들에게 사교육 기회를 주기 위해 인재양성원을 설립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전교조 청송지회가 “지자체가 학원을 앞세워 공교육의 틀을 흔드는 공교육 죽이기”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장학회를 앞세웠지만 군청에서 운영을 담당하고, 기금의 대부분을 청송군의 출연금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립학원이라는 것이다.
전교조 청송지회는“현재 지역 고교들은 기숙형 공립학교와 지역 중심학교 등 여러 방식으로 지역 학생들의 학력 향상을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그런데 학생들을 주말이나 방학 중에 공립학원으로 빼 가게 된다면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몸부림이 수포로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공립학원에서 탈락할 86%의 절대 다수 학생들은 교육의 기회 균등 원칙을 부정 당하게 된다”며 “지자체는 일부 우수 학생이 아닌 절대 다수 학생을 위한 교육 지원사업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교조 청송지회는 “수십억원을 쏟아부어 명문대 몇 명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은 생색내기용”이라며 “장학회는 학생끼리의 위화감과 경쟁을 조장할 것이 아니라 초·중학교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