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의회가 유치 움직임 견제해야” 24일 경북도의회를 찾은 강호철(49·사진) 핵폐기장 반대 동해안 대책위원장은 “한국전력 아니라 청와대를 준다해도 우리는 핵폐기장이 싫다”며 “경북도의회가 나서 극심한 주민갈등을 불러올 핵폐기장 유치 움직임을 견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경북도의회를 찾은 이유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동해안 지역 방폐장 건설 움직임은 경북도와의 교감과 이의근 경북지사의 의중이 실린 것이라는 생각이다. 포항시의 주요 관계자도 그런 뜻을 내비쳤다. 여러차례 이 지사와 면담을 요구했지만 일정이 없어 2개월 안에 만날 수 없다는 답변만 들었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도의회가 집행부 견제라는 본연의 역할을 수행해 도민 갈등을 사전에 막아달라고 건의하기 위해 도의회를 찾았다. -중·저준위 방폐장은 위험도가 낮은 반면 혜택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2003년 경북도 의회는 동해안 지역 핵폐기장 반대 결의안을 채택했다. 그 때와 지금은 근본적으로 변한 게 아무것도 없다.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이 부르짖었던 사회적 합의를 위한 해결은 받아들여 지지 않고 돈으로 지자체간 경쟁을 부추겨 새로운 혼란과 갈등을 만드는 쪽으로 가고 있다. 중저준위 핵폐기물이라 해서 위험이 없는 게 아니다. 미국의 경우 대부분 중저준위 폐기장에서 사고가 나고 있다. 중저준위 핵폐기물에 장갑이나 피복 등만 있는게 아니라 원전 해체물이나 냉각수를 거른 필터, 폐오일 등 사용후 핵연료를 제외한 모든 핵폐기물이 중저준위로 분류된다. 3000억원을 지원한다지만 이 돈은 4차선 도로 20km를 건설할 돈에 불과하다. 울진에 원전이 5기나 있지만 울진군민의 삶은 더 피폐해졌다. 핵폐기장 설치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는 일시적인 처방일 뿐 얼마가지 않아 지역경제의 걸림돌이 될 것이다. 정부가 주민들을 환상으로 몰고 가서는 안된다. -울진이나 경주처럼 이미 원전이 건설된 지역이 방폐장 터로 적합하다는 의견도 있다. =발전소의 경우 30∼40년으로 수명이 한정돼 있다. 핵폐기장은 언제까지 존속 될 지 기약도 없다. 우리 지역은 안되고 너희 지역으로 가라고 주장하는 게 아니라 정부 에너지 정책의 전반을 돌아보는 계기가 돼야 한다. 제2, 제3의 부안사태를 보지 않으려면 경북도는 방폐장 유치를 부추기는 듯한 행위를 중단하고 분명한 유치 반대 견해를 밝혀야 한다. 도의회도 경북도와 일선 시·군의 유치 움직임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 대구/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