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련 등 8개 단체 “반대쪽 배제한 조사 신뢰 못해”
경주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안전성을 논의할 공동협의회가 25일 첫 회의를 열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지만 일부 시민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이날 발족한 공동협의회는 경주시의회와 시민단체, 지역 주민 등 17명과 방폐물관리공단,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 3명씩 모두 23명으로 구성됐다. 협의회는 연약 지반 때문에 방폐장 공기가 30개월 연장되면서 안전성 논란이 불거지고 지역에서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동조사를 요구함에 따라 시의회와 방폐장 관련 기관이 합의해 구성됐다. 협의회는 방폐장 안전성과 관련한 현안문제 해결을 위해 올해 연말까지 활동을 하게 되며 상황에 따라 기간을 연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경주환경운동연합과 민주노동당 경주시위원회 등 8개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정당들은 성명을 내어 “공사 지연 조사보고서를 보면 연약한 지반, 많은 단열대, 하루 1000t이 넘는 지하수 유입 등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며 “협의체 구성 합의를 철회하고 시민단체와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조사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들은 “경주시의회가 방폐장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동조사단 구성을 뒤로한 채 눈앞의 과실 따기에 급급해 지식경제부와 협의체 구성이라는 어정쩡한 합의를 하는 등 무책임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익중 경주환경운동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은 “방폐장 반대단체들이 배제된 협의체는 결국 지경부와 한수원 쪽이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모든 공사를 중단하고 제대로 된 안전성 조사부터 실시할 것”을 요구했다.
대구/박영률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