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결의문 채택…반대 서명 모으기도
“남원·함양 경계까지 수몰, 환경파괴 우려”
“남원·함양 경계까지 수몰, 환경파괴 우려”
정부가 부산·경남 주민들의 식수난 해소를 위해 지리산댐(문정댐)을 다시 추진하자, 전북도의회와 환경단체가 건설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문정댐은 경남 함양군 마천면과 휴천면(문정리) 일대에 저수량 9700만t 규모로 건설하려는 식수 및 홍수 조절용 댐이다. 2001년 정부가 댐 건설 장기계획을 수립하면서 예비후보지에 포함시켰다가 여건 미성숙을 이유로 제외시킨 곳이다.
전북도의회는 최근 이상현 의원(남원1)의 제안에 따라 “지리산댐 건설은 전북 남원지역 주민들에게 막대한 재앙을 안겨줄 수 있다”며 지리산댐 건설 반대 결의문을 채택했다. 도의회는 결의문을 통해 △지리산댐 건설계획 취소 △낙동강 수질개선 사업 추진 △실상사 등 지리산 주변 불교 문화유적 훼손 반대 등 3개항을 요구했다.
이 의원은 “2000년대 초 지리산댐 건설을 추진했으나 반대여론 때문에 무산됐다”며 “지리산댐 예정지는 칠선계곡, 백무동, 뱀사골 등 물이 합수돼 흐르는 낙동강 유역의 최상류 지천중 하나로, 댐이 건설되면 자연환경 파괴, 생활터전 수몰, 기후변화, 상수원 보호구역 규제 등 엄청난 주민피해가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앞서 지리산생명연대는 지난 7월부터 인터넷상에서 지리산댐 반대 서명을 받고 있다. 현재 서명자가 1만명에 이르렀다. 이 단체는 이달 말까지 서명자를 정리해 다음달 초 정부에 댐 건설 반대를 촉구하는 결의문과 함께 보낼 예정이다.
이 단체는 지난달 16일 전북 남원시 산내면과 함양군 마천면 주민들이 함께 엄천강을 걷는 행사를 진행했다. 참여한 주민들은 “지역의 재앙이 될 댐 추진을 백지화하고 민족의 성산인 지리산을 보호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다음 달 초 함양에서는 주민, 환경단체, 종교인 등으로 반대대책위를 구성해 건설 반대에 나설 예정이다.
최화연 지리산생명연대 사무처장은 “지리산댐 건설은 이미 수년 전에 무산됐는데,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과 연계해 정부가 다시 추진하고 있다”며 “낙동강 홍수 조절과 수량 확보를 명분으로 내세우지만, 댐을 건설하면 전북 남원시와 경남 함양군 경계지점까지 수몰되는 등 문제점이 엄청나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